- 영문명
- A Comparison Study of Health Literacy and e-Health Literacy among Undergraduate Women Majoring in Healthcare and Non-Healthcare Major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노미영(Mi-Young Roh)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3 No.1, 19~2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건의료 전공생과 비보건계열 여대생의 헬스 리터러시와 e-헬스 리터러시를 비교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 전공생 100명, 비보건계열 여대생 128명을 대상으로 헬스 리터러시와 e-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은 χ2 test, t-test,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건의료 전공생과 비보건계열 여대생의 헬스 리터러시(t=-2.331, p=.021)와 e-헬스 리터러시(t=-3.888, p<.001)는 차이가 있었고, 두 변인 간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다양한 전공을 고려하여 헬스 리터러시와 e-헬스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health literacy and e-health literacy of undergraduate women majoring in health care and non-health car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Health literacy and e-health literacy were measured in 100 health care majors and 128 non-health care major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χ2 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ed that health literacy(t=-2.331, p=.021) and e-health literacy(t=-3.888,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ealth care and non-health care majors,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ilore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health literacy and e-health literacy among different student group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학업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구강해부학 수업에서 태블릿을 이용한 가상해부에 따른 학습몰입도, 만족도 및 이해도 평가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DACUM기법을 이용한 재가장기요양기관 창업간호사 직무분석
- 운수사고 환자의 중증도 위험요인 규명을 통한 권역외상센터 확대 제안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개인-환경 적합성 군집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사망 현황 분석
- 기계학습과 딥러닝을 활용한 당뇨병 조기 예측 모델 개발 및 최적화 연구
- 비수도권 입원환자의 수도권 입원 의료이용에 미치는 요인
- 동영상 활용설명 교육이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입원환자의 질병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두경부마사지가 중년여성들의 뇌 기능 활성 및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 블로워 시스템 기반의 다기능 호흡 모듈 사용적합성 총괄평가
- 춤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 GPT-4o와 GPT-o1의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성능 비교 연구
-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치위생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프로젝트 기반 통합간호 수업 운영 사례 및 만족도 조사
-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에서 Hypoxia에 의해 유도되는 miRNA-125 표적 단백 발현
- 국가암검진 성과모니터링에 대한 사례 고찰
- 초심자를 대상으로 전문 기도유지 기구들의 일회 환기량과 삽관 시간 비교
- 보건의료 전공생과 비보건계열 여대생의 헬스 리터러시와 e-헬스 리터러시의 비교 연구
- 일지역 기혼여성의 노동 및 젠더 요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학업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구강해부학 수업에서 태블릿을 이용한 가상해부에 따른 학습몰입도, 만족도 및 이해도 평가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