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Clinical Practices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Identity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천석연(Seok-Yeon Cheon)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3 No.1, 59~6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치과위생사인 교외 임상실습을 경험한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가 전문직 직업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치위생 임상실습 교육 시행 방안 마련과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주요 변수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위생 전문직관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 중 학년 전공만족도, 성적이 임상실습 만족도 중 하위 영역별로는 실습교과만족도, 실습내용만족도, 실습시간만족도, 실습평가만족도 등이 치위생 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는 치위생과 교육과정에서 임상실습의 질적 향상이 학생들의 전문직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5 dental hygien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uburban clinical practice, a preliminary dental hygienis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professional occupation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preparing a plan to implement dental hygien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forming a positive professional intuition. The main variables were set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dental hygiene professional intui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subject,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content,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time, and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evaluation among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y grade, major, and sub-area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that affect the dental hygiene prof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professional intuitio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자료분석
4. 연구결과
5. 고찰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학업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구강해부학 수업에서 태블릿을 이용한 가상해부에 따른 학습몰입도, 만족도 및 이해도 평가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DACUM기법을 이용한 재가장기요양기관 창업간호사 직무분석
- 운수사고 환자의 중증도 위험요인 규명을 통한 권역외상센터 확대 제안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개인-환경 적합성 군집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사망 현황 분석
- 기계학습과 딥러닝을 활용한 당뇨병 조기 예측 모델 개발 및 최적화 연구
- 비수도권 입원환자의 수도권 입원 의료이용에 미치는 요인
- 동영상 활용설명 교육이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입원환자의 질병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두경부마사지가 중년여성들의 뇌 기능 활성 및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 블로워 시스템 기반의 다기능 호흡 모듈 사용적합성 총괄평가
- 춤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 GPT-4o와 GPT-o1의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성능 비교 연구
-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치위생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프로젝트 기반 통합간호 수업 운영 사례 및 만족도 조사
-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에서 Hypoxia에 의해 유도되는 miRNA-125 표적 단백 발현
- 국가암검진 성과모니터링에 대한 사례 고찰
- 초심자를 대상으로 전문 기도유지 기구들의 일회 환기량과 삽관 시간 비교
- 보건의료 전공생과 비보건계열 여대생의 헬스 리터러시와 e-헬스 리터러시의 비교 연구
- 일지역 기혼여성의 노동 및 젠더 요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인문학 시각을 반영한 동서양의 웰에이징(Well-aging) 개념 비교 연구
- 노인체험복 착용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노인이미지에 관한 연구
- 노인의 구강관리, 구강증상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