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eachers’ Conflicts in Managing and Resolving School Violence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남유진(Youjin Na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11권 제1호, 259~2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질적 메타분석(Qualitative Meta-Analysis, QMA)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의 양상과 그 맥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최근 학교폭력은 신체적 폭력을 넘어 사이버폭력, 명예훼손, 성폭력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도 교육자에서 사건 조사관, 관계 조정자, 행정 업무 담당자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역할 변화 속에서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 부담과 심리적 소진을 겪고 있으며, 학부모 및 학교 관리자와의 갈등, 법적·행정적 절차의 복잡성 등 다양한 제약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2014년부터 2024년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10편의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행정적·제도적 제약, 관계적 압박과 심리적 소진, 다변화하는 학교폭력과 교사 역할 혼란의 세 가지 주요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행정 중심의 경직된 대응 절차와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교육적 개입에 어려움을 겪으며, 학부모와의 갈등 및 교권 침해로 인한 정서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변화하는 학교폭력 양상 속에서 기존의 대응 방식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이 연구는 개별 연구에서 도출된 교사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역할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학교폭력 대응 과정에서의 협력적 지원 체계를 강화하며, 변화하는 학교폭력의 양상에 보다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적 접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논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Qualitative Meta-Analysis (QMA)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nflicts teachers experience in managing and resolving school violence. In recent years, school violence has evolved beyond physical altercations to include cyberbullying, defamation, and sexual violence, expanding teachers’ roles from educators to investigators, mediators, and administrative personnel. As their responsibilities broaden, teachers face excessive workloads, psychological burnout, conflicts with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complexities of legal and bureaucratic procedures. To explore these challenges,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en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between 2014 and 2024. The analysis identifies three key areas of difficulty for teachers: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relational pressures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role ambiguity in response to the shifting landscape of school violence. The findings reveal that teachers struggle with rigid, bureaucracy-driven response protocols and a lack of specialized training, making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difficult. They also experience emotional isolation due to conflicts with parents and the erosion of their professional authority. Additionally, traditional response strategies often fail to address the evolving complexities of school violence effectively. By synthesizing insights from individual studies,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ed to clearly define teachers’ roles, strengthen collaborative support systems in addressing school violence, and develop educational approaches that better align with its changing dynamic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유진(Youjin Nam). (2025).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질적탐구, 11 (1), 259-282

MLA

남유진(Youjin Nam).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질적탐구, 11.1(2025): 259-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