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방법적 탐구와 비평
이용수 0
- 영문명
- Postmodern Qualitative Research in South Korea: Methodological Inquiry and Critique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주재홍(Jaehong Joo)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1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의 주요 동향과 그 특징을 비평하고, 방법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 질적 연구의 영역과 연구 문제들이 어떻게 새롭게 규명되어야 하는가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다양한 학술 연구 및 문헌을 수집하여 내용 분석과 문서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분석을 위해 먼저, 포스트모던 사유와 철학을 바탕으로 다음 네 가지 개념적 기준을 설정하였다: 1) 메타내러티브의 거부와 차이에 대한 탐구, 2) 지식에 대한 권력적 탐구, 3) 인간의 주관성과 위치성 탐구, 4) 비언어적 상징과 표상 체계의 탐구. 연구 결과, 포스트모던 연구 패러다임 내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한국 질적 연구들이 이 네 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검토되고 설명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질적 연구자들이 포스트모던 연구 전통의 새로운 발견, 의미, 그리고 잠재적 가치를 보다 성숙한 형태로 확장하고 이론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que and methodologically explore the ke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Through this analysis, it systematically presents how the scop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questions in Korea should be newly def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purpose, academic works and literatures from various kinds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a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content and document analysis. For the analysis, four analytical concepts were developed from the readings of postmodern literatures and philosphies as criteria of contents analysis of those document: 1) Rejection of metanarratives and exploration of difference, 2) Power analysis in knowledge production, 3) Examination of human subjectivity and positionality, and 4) Inquiry of non-liguistic forms of writing and representation. As research results, much kinds of qualitative research works in postmodern research paradigm in South Korean were effectively reviewed and explained with those four features. Thus, this new historical review of this inquiry is believed to enable South Korean qualitative research scholar to develop new understanding of the new discovery, meaings, and possible value of this research tradition to more mature exapansion and theorization of qualitaive research discourse in South Korea.
목차
I. 서론
II.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동향
III. 연구 방법
IV. 한국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영역과 그 특징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방법적 탐구와 비평
- 질적탐구 제11권 제1호 목차
- 한국 자문화기술지의 수용 및 발전 과정 탐구
- 2022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단위학교에서의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 개발 방안 탐색
-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문서분석 연구의 동향
- 내러티브 탐구 경험을 통해 성찰한 한국 교육 분야 내러티브 탐구의 도전과 과제
-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플립러닝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청소년기 어머니 상실을 경험한 음악치료사의 가족관계 통찰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교사들의 자산관리와 투자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 관점으로 접근한 지체장애학교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국 다자녀 가정 장녀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비전형적 장녀 정체성을 중심으로
- 연구자의 위치성과 권력관계에 대한 논의: 비판적 질적연구 경험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 학교와 마을 연계 교육의 실천 과정에 대한 질적 이해 - 부산 지역의 반송중학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