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와 마을 연계 교육의 실천 과정에 대한 질적 이해 - 부산 지역의 반송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Process of School-local community Linkage Education: Focusing on Bansong Middle School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필성(PilSeong Kim) 김대현(DaeHyu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1권 제1호, 341~37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행복학교가 지역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마을과 연계하는 교육 실천의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부산 지역의 다행복학교는 지역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자 추진되었지만, 이를 위한 학교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반송중학교의 노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역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반송중학교와 반송마을이 협력하고 있었다. 반송중학교는 지역 혐오감을 가진 교사가 반송마을 속에서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면서 마을알기, 마을프로젝트 등 마을 연계 교육을 운영했다. 또한 반송중학교는 마을과 협력하는 마을교육네트워크를 통해 학교와 마을을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학교와 마을을 사랑하는 학생들을 키우고자 했다. 이 사례를 통해 학교의 변화는 교사의 내적인 내러티브의 변화에 기초하며, 학교 밖 마을환경 및 문화에 영향을 받으므로 학교와 학생, 지역주민의 삶을 연결하는 교육이 요구됨을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마을을 연결하는 교사와 학교장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 등 여러 가지를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Bansong Middle School’s educational practices that link with the local-community to resolve the regional education gap. The Dahaengbok School in Busan was promoted to resolve the regional education gap,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empiricall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school for this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Bansong Middle School’s efforts to resolve the regional gap by utiliz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ansong Middle School and Bansong community were cooperating to resolve the regional education gap. Bansong Middle School operated community-linked education such as community knowledge and community projects as teachers with regional aversion developed pride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Bansong Middle School attempted to foster students who love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b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through a community education network that cooperates with the community. Through this case, it was discussed that the change in the school is based on the change in the teacher’s internal narrative and is influenced by the community environment and culture outside the school, so education that connects the lives of the school,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is required. Finally, it suggested several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principals who link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반송중학교과 반송마을교육네트워크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방법적 탐구와 비평
- 질적탐구 제11권 제1호 목차
- 한국 자문화기술지의 수용 및 발전 과정 탐구
- 2022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단위학교에서의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 개발 방안 탐색
-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문서분석 연구의 동향
- 내러티브 탐구 경험을 통해 성찰한 한국 교육 분야 내러티브 탐구의 도전과 과제
-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플립러닝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청소년기 어머니 상실을 경험한 음악치료사의 가족관계 통찰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교사들의 자산관리와 투자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 관점으로 접근한 지체장애학교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국 다자녀 가정 장녀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비전형적 장녀 정체성을 중심으로
- 연구자의 위치성과 권력관계에 대한 논의: 비판적 질적연구 경험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 학교와 마을 연계 교육의 실천 과정에 대한 질적 이해 - 부산 지역의 반송중학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현대유럽철학연구
-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 부산발전포럼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
- 교육공동체와연구실천
-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청소년학연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내러티브와교육연구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 교육혁신연구
- 교사교육연구
- 수상해양교육연구
- 도덕교육연구
- 서울
- 교육혁신연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사회학연구
- 평생교육학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질적연구
- 초등교육연구
- 평생교육학연구
- 중소기업연구
- 건축
-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 Jossey-Bass
- Prepared for the lowa Department of Education
- Hassell Street Press
- Routledge; 1st edi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