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탐구 경험을 통해 성찰한 한국 교육 분야 내러티브 탐구의 도전과 과제
이용수 0
- 영문명
- Distinct Challenges and Future Tasks of Narrative Inquiry in Korean Education: Reflections from My Own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양영자(Youngja Yang)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1권 제1호, 33~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교육 맥락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도전과 과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의 도입과 정립 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교육 분야에서 번역서와 저서, 학술논문 등을 통해 내러티브 탐구를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내러티브 탐구다움과 내러티브 탐구자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후, 나의 사례를 통해 한국적 맥락이 잘 드러나는 참여자의 경험을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어떻게 탐구했는지 성찰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탐구 이론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탐구자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마주한 주요 변곡점을 살펴본 뒤, 수행 과정에서 경험한 쟁점과 딜레마를 제시하고, 한국 교육에서 요구되는 내러티브 탐구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asks associated with narrative inquiry in the context of Korean education. To this end, it first reviews the process by which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and then investigates how it has been embraced-particularl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through translated works, monograph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Next, building o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inquiry and the role of the narrative inquirer, the study reflects on how participants’ experiences which clearly illustrate the Korean context, were explored with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by drawing on the author’s own case. Finally, in light of narrative inquiry theory, it discusses several pivotal moments in the author’s journey to becoming a narrative inquirer, addresses key issues and dilemmas encountered in the research process, and proposes tasks necessary to further advance narrative inquiry in Korean education.
목차
I. 들어가며
II. 한국 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수용 양상
III. 한국 사회와 교육의 맥락을 반영한 내러티브 탐구
IV. 내러티브 탐구자로서 경험하는 쟁점과 딜레마
V. 한국 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포스트모던 질적 연구: 방법적 탐구와 비평
- 질적탐구 제11권 제1호 목차
- 한국 자문화기술지의 수용 및 발전 과정 탐구
- 2022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단위학교에서의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 개발 방안 탐색
-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문서분석 연구의 동향
- 내러티브 탐구 경험을 통해 성찰한 한국 교육 분야 내러티브 탐구의 도전과 과제
-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플립러닝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청소년기 어머니 상실을 경험한 음악치료사의 가족관계 통찰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교사들의 자산관리와 투자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 관점으로 접근한 지체장애학교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국 다자녀 가정 장녀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비전형적 장녀 정체성을 중심으로
- 연구자의 위치성과 권력관계에 대한 논의: 비판적 질적연구 경험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 학교와 마을 연계 교육의 실천 과정에 대한 질적 이해 - 부산 지역의 반송중학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