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nhancing Public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ress Release Writing” - A Case Study Regarding Application in University Thinking and Expression Course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권동우(Dongwoo Kwo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2호, 219~24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공적 의사소통과 사적 의사소통의 경계가 모호해진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공공기관 및 기업의 공식적인 정보 전달 수단인 ‘보도자료 쓰기’가 대학생들의 공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 ‘보도자료 쓰기’ 교육은 학생들에게 독자 중심의 글쓰기 경험을 제공하고, 공적 맥락에 적합한 언어 사용 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 작성 후 보도자료 형식으로 수정하는 과정은 학생들의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구사 능력,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구성 능력, 독자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보 전달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역량은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공적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이 된다. 또한, 본 연구는 ‘보도자료 쓰기’가 실제 대학 <사고와 표현> 교과의 다양한 수업 상황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쓰기’ 중심 교과와 ‘쓰기·말하기’ 연계 교과에서 보도자료 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공적 의사소통 상황을 효과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공적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 교양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press release writing” as an educational strategy to enhance public communication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new media era.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in university courses was analyzed; the focus was on thinking and expression. With the growing ambiguity between private and public language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educating university students on appropriate language use in public communication contexts has emerged.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premis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ess releases (official documents us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for external information dissemination)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public communication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 that press release writing effectively enables students to experience reader-centered writing and fosters their ability to use languages that are suitable for public contexts. Transforming initial drafts into press releases enhances students’ proficiencies in concise and clear sentence construction, objective and logical composi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based on audience comprehension. These competencies provide an essential foundation fo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various public discourses as responsible members of the future society. Additionally, the study findings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press release writing in diverse instructional settings in university thinking and expression courses. In writing-focused courses, students practiced writing concise and clear articles based on objective information. In “writing-speaking” integrated courses, students designed presentation materials and conducted actual presentations, thereby experiencing the entire process of public communication. The analysis of these outcomes offers insights into public communication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보도자료 쓰기와 공적 의사소통
3. 보도자료 쓰기 교육 사례 및 효과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동우(Dongwoo Kwon). (2025).‘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2), 219-249

MLA

권동우(Dongwoo Kwon). "‘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2(2025): 219-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