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과 지연의 게임 리터러시 -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 시리즈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Game Literacy of Duration and Suspense - Focusing on “The Legend of Zelda” and “God of War”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성민(Sungmin Cho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2호, 303~3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표적인 콘솔 게임인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를 중심으로 게임 리터러시의 원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리터러시는 본래 문해력, 즉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지만, 게임 리터러시는 게임을 능동적으로 즐기고, 의미 있게 해석하며,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능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리터러시의 핵심은 두 가지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반복적 플레이 경험을 통한 몰입을 강조하는 루돌로지, 그리고 서사적 전개가 주는 감동과 의미를 중시하는 내러톨로지의 관점이다. 이 두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플레이어는 게임에 깊이 몰입하며 경험을 지속하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플레이어가 엔딩을 앞두고 게임을 일부러 지연하거나 회피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엔딩의 역설’이라 할 수 있으며, 몰입이 끝나는 데 대한 아쉬움, 그리고 가상 세계와 캐릭터에 대한 애착에서 비롯된다. 결국, 게임 리터러시의 핵심은 루돌로지적 재미와 내러톨로지적 감동, 그 균형 속에서 플레이어의 지속적 참여와 몰입을 이끄는 데 있다.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는 이 두 관점이 조화를 이루는 대표적인 게임 사례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rinciples of game literacy by analyzing two exemplary console games: The Legend of Zelda and God of War. Traditionally,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However, game literacy may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critically engage with, interpret, and creatively interact with video games as complex cultural and communicative texts. The core of game literacy lies in two interrelated perspectives: ludology, emphasizing immersive and repetitive gameplay experiences, and narratology, focusing on emotional engagement through story-driven progression. When these two elements are harmoniously integrated, players are more likely to maintain deep immersion and sustained engagement. Interestingly, some players intentionally delay or avoid reaching a game’s ending—a phenomenon that can be described as the “paradox of the ending.” This reflects not only a reluctance to break the immersive experience, but also a form of emotional attachment to the game world and its characters. Ultimately, the foundation of game literacy lies in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ludological pleasure and narratological meaning. The Legend of Zelda and God of War exemplify this synthesis, standing as leading cases where gameplay and narrative are skillfully intertwined to enhance the player's ongoing experience.
목차
1. 서론
2. 게임을 왜 하는가
3. 게임 리터러시와 게임의 목적
4. 엔딩의 역설, 지속과 지연의 원리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2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저자의 아이덴티티와 언어표지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인공지능 교육 내용 분석
- 제2언어 확장형 읽기의 교사 및 학습자 인식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제공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생의 학문사회화와 연구자의 길 - 학문 문식성의 내용 체계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1)
- 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I 번역 오류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 대학 인문학 강의 코퍼스 기반 한국어 접속부사 연구 - 사용 빈도와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 ‘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지속과 지연의 게임 리터러시 -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 시리즈를 중심으로
- 정서적 공감을 통한 클래식 음악 리터러시 연구 - 『녹스빌: 1915년의 여름』의 VR 감상 구성안 제안
- 한국인의 문화적 차원은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세대·성별 차이와 개인 내 실현 맥락 분석
- 박주택 시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환대의 시학 - 『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