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번역 오류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Using AI Translation Error Analysis - Focusing on Enhancing the Literary Appreciation and Translation Competence of Foreign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가원(Kawon L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2호, 277~3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 향상을 위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AI 번역 도구는 일상 언어 번역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한국어문학 작품 번역에서는 문화적·정서적 맥락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 번역 오류 분석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문학 작품의 함의와 문화적·정서적 맥락을 깊이 이해하도록 돕고, 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AI 번역의 오류를 분석하고 수정하는 과정은 문학 감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I 번역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이러한 한계를 교육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학습자의 번역 역량과 문학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통합적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어문학교육에서 실천적이고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methods designed to enhance the Korean literature appreciation and translation competence of foreign students. Although AI translation tools are effectively utilized for daily language translation, they exhibit limitations in accurately reflecting the cultural and emotional contexts inherent in translating Korean literary tex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literature appreciation and translation competence by analyzing AI translation errors.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correcting AI translation errors significantly affects learners’ literary appreciation 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wofold: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AI translation and utilizing these limitations as an educational resource. This paper presents integrated educational strategies that leverage this process to enhance learners' translation competence and literature appreciation 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and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in futur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AI 번역 기술 발전과 한국어문학교육에서 번역의 역할
3. 외국인 유학생의 AI 번역 활용 실태 및 인식 변화 분석
4. AI 번역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2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저자의 아이덴티티와 언어표지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인공지능 교육 내용 분석
- 제2언어 확장형 읽기의 교사 및 학습자 인식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제공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생의 학문사회화와 연구자의 길 - 학문 문식성의 내용 체계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1)
- 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I 번역 오류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 대학 인문학 강의 코퍼스 기반 한국어 접속부사 연구 - 사용 빈도와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 ‘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지속과 지연의 게임 리터러시 -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 시리즈를 중심으로
- 정서적 공감을 통한 클래식 음악 리터러시 연구 - 『녹스빌: 1915년의 여름』의 VR 감상 구성안 제안
- 한국인의 문화적 차원은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세대·성별 차이와 개인 내 실현 맥락 분석
- 박주택 시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환대의 시학 - 『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