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tical Study on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for Business Purposes Based on Job Literac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임진숙(JinSuk L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2호, 161~18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직업문식성의 개념과 중요성을 확인하고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서 직업문식성 주제를 분석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NCS를 한국어교육 맞춤형으로 재구성하여 유학생을 위한 직무 능력으로 ‘의사소통 능력, 종합적 사고 능력, 정보처리 및 활용 능력, 사회문화적응 능력, 근로 윤리 이해 능력, 업무수행 능력, 자기관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유형으로 분류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리 능력, 자원관리, 조직 이해, 문서 작성 등이 포함되는 업무수행 능력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다음으로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사회문화적응능력> 의사소통능력> 종합적사고능력> 근로윤리이해능력> 정보처리 및 활용 능력’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근로윤리이해능력과 정보처리 및 활용 능력의 제시가 다른 능력의 제시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 내용은 다소 기초적인 작업이기는 하나 향후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에서 직업문식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을 구안하는 데에 기초적인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job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and analyze job literacy topics in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for business purposes. By reorganizing NCS into customization for Korean education, the study categorized job competency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into “communication, holistic think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utilization, sociocultural adaptation, understanding of work ethics, performance, self-man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analyze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for business purpo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ing materials presented performance competency most which covered mathematical ability, resource management,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nd documentation. It was followed by “self-management, interpersonal, sociocultural adaptation, communication, holistic thinking, understanding of work ethic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utilization competency” in descending order. The presentation of understanding of work ethic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utilization competency was considerably less than that of other competencies and required supplementation. This analytical content is somewhat fundamental work, but it will provide basic materials to devise educational plans that will reinforce job literacy in future Korean education for job purposes.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에서 직업문식성 기존 연구
3. NCS의 직업기초능력 기반 한국어교육 직업문식성
4. 한국어교재에 나타난 직업문식성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진숙(JinSuk Lim). (2025).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 (2), 161-184

MLA

임진숙(JinSuk Lim). "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2(2025): 161-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