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언어 확장형 읽기의 교사 및 학습자 인식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제공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Teache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Extensive Reading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xtensive Korean Read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민소연(Soyeon Mi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2호, 125~15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2언어 교육 맥락에서의 확장형 읽기에 대한 교사 및 학습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근 15년간 발표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CASP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29편의 연구물이며,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문헌을 선정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교사 및 학습자의 배경, 교육적 처치, 읽기 도구 및 텍스트 유형으로 설정하였으며, White & Marsh(2006)의 내용분석 틀을 바탕으로 연역적·귀납적 접근을 병행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교수 신념, 학습자의 학습 환경, 수업 중 제공되는 교육적 처치와 사용된 읽기 자료가 확장형 읽기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의 자율성과 교사의 조율적 개입 간의 균형, 그리고 CLIL 기반의 교수 전략이 확장형 읽기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실천적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확장형 읽기의 교육적 설계 방향을 구체화하는 데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향후 읽기 교수·학습 설계에 있어 실증적 논의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conducted over the past 15 years regarding teache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extensive reading in the context of second-language education.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extensive reading instruc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derived from this review.
A total of 29 studies that me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standards based on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P) checklist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was employed with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the framework of White and Marsh (2006), which combines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approaches. The analysis focused on four key areas: teachers’ and learners’ backgrounds, instructional interventions, reading tools, and text typ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eachers’ beliefs,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nature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materials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s of extensive reading. In particular, the balance between learner autonomy and instructional scaffolding, as well as the us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based on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CLIL), have emerged as effective alternatives for implementing extensive reading.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shaping the design of extensive reading instruction fo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offers directions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on reading pedagogy.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연구 결과
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2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저자의 아이덴티티와 언어표지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인공지능 교육 내용 분석
- 제2언어 확장형 읽기의 교사 및 학습자 인식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제공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생의 학문사회화와 연구자의 길 - 학문 문식성의 내용 체계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1)
- 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I 번역 오류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 대학 인문학 강의 코퍼스 기반 한국어 접속부사 연구 - 사용 빈도와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 ‘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지속과 지연의 게임 리터러시 -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 시리즈를 중심으로
- 정서적 공감을 통한 클래식 음악 리터러시 연구 - 『녹스빌: 1915년의 여름』의 VR 감상 구성안 제안
- 한국인의 문화적 차원은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세대·성별 차이와 개인 내 실현 맥락 분석
- 박주택 시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환대의 시학 - 『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