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생의 학문사회화와 연구자의 길 - 학문 문식성의 내용 체계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1)
이용수 0
- 영문명
- Academic Socialization and Path of Researchers Among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 A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ng the Content System of Academic Literacy (1)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양수연(Sooyeon Yang) 주세형(Sehyung Joo)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2호, 67~124쪽, 전체 5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9,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학계에 입문하고자 하는 학문후속세대의 학문사회화 과정을 질적으로 관찰하여, 향후 (한)국어교육학계의 학문 문식성 향상에 필요한 내용 체계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논의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연구중심대학의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생이다. 예비 연구자로서 대학원생이 학문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성찰적 인식과 함께 학습을 통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고 판단되는 그들의 인식을 준거로, 학문사회화의 주요 변곡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원생이 한 학기 동안 강의를 수강하면서 학기 말 최종 과제, 즉 ‘연구 보고서’를 제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수업을 통해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전문가의 방법론 특강 및 학과의 공식/비공식 행사에 참여하는 등 일련의 국면마다 가지는 다양한 ‘인식’을 현상 그대로 포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의식 출현 및 연구 주제 생성’에서부터 ‘학문 및 연구의 본질’에 이르기까지 총 6개의 대범주와 16개의 중범주, 59개의 소범주가 코드로 도출되었다.
향후 후속 연구가 축적된다면, (한)국어교육전공의 맥락에서 학문 문식성의 내용 체계 표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따라 학부생을 대상으로 기존 대학작문교육과 대학독서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진 논의의 범위를 확장하여, 대학원 및 전문적 교육의 맥락에서 개별 학문을 실천하는 ‘학자로서의 필자 및 독자’의 상을 새롭게 발굴하고, 연구자 정체성을 가진 저자성 개념에 기대어, 예비 연구자들이 학문사회화 과정에서 텍스트를 수용하고 생산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실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한 긴 여정의 출발선에 위치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imed at establishing a content system necessary to enhance academic literac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nvolved qualitatively observing the academic socialization process of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wishing to en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c commun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foundational course titled “Introduction to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Focusing on the reflective awareness that emerges as graduate students engage in academic practic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key turning points in their academic socialization process based on meaningful shifts in perception during their learning experience. As emerging researchers, their perceptions of research, shap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ting assignments (such as a “research report,” attending theory-based lectures, participating in methodology workshops, and engaging in official and unofficial departmental events), were analyzed in various phases, thus capturing their evolving awareness of research competencies.
As a result, six major categories, 16 subcategories, and 59 specific categories were coded, ranging from “the emergence of problem awareness and topic generation” to “the essence of academia and research.” With future research accumulation, a comprehensive content system for academic literacy specific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xt is anticipated to be developed. Expanding the discussion to encompass university-level writing and reading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is study aims to uncover a new image of “authors and readers as scholars practicing in” individual academic disciplines. By building on the concept of authorship tied to a researcher’s identity, it is possible to substanti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for novice researchers to engage with and produce texts during their academic socialization proc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plor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journey.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6권 2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저자의 아이덴티티와 언어표지 연구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의 디지털 매체로서의 인공지능 교육 내용 분석
- 제2언어 확장형 읽기의 교사 및 학습자 인식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확장형 읽기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제공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생의 학문사회화와 연구자의 길 - 학문 문식성의 내용 체계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1)
- 직업문식성 기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I 번역 오류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학 감상 능력과 번역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 대학 인문학 강의 코퍼스 기반 한국어 접속부사 연구 - 사용 빈도와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 ‘보도자료 쓰기’를 활용한 공적 의사소통 역량 강화 교육 방안 - <사고와 표현> 교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지속과 지연의 게임 리터러시 - <젤다의 전설>과 <갓 오브 워> 시리즈를 중심으로
- 정서적 공감을 통한 클래식 음악 리터러시 연구 - 『녹스빌: 1915년의 여름』의 VR 감상 구성안 제안
- 한국인의 문화적 차원은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세대·성별 차이와 개인 내 실현 맥락 분석
- 박주택 시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환대의 시학 - 『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