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락적 교차대칭 구조와 영생의 신학적 의미 -누가복음 9:51-11:13을 중심으로-

이용수  12

영문명
The Contextual Chiastic Structure and the Theological Meaning of Eternal Life: A Study on Luke 9:51-11:13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철학회
저자명
오영출(Young-chool Oh)
간행물 정보
『기독교철학』제42호, 235~2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누가복음 9:51-11:13을 중심으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들 어있는 율법사의 영생 내러티브를 문맥적 관점과 문학적 관점 및 신학적 관 점에서 분석한다. 기존의 전통적 해석은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주로 윤 리적 교훈과 이웃 사랑의 본보기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를 누 가복음 내러티브의 전체 구조 속에서 구속사적 메시지로 재해석하고, 영생 의 신학적 본질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율법사의 영생 내러티브 를 중심으로 한 누가복음의 연속 내러티브를 단락적 교차대칭 구조로 변형 하여 분석하며, 이를 통해 영생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상호 호응하며 신학적 메시지를 강화하고 있음을 밝힌다. 특히, 본 연구는 내러티브 간 구조(InterNarrative Structure),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그리고 문맥적 내러티브 분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율법사의 영생 내러티브에 등장하는 선한 사 마리아인 비유가 단순한 윤리적 교훈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사적 초대와 은혜를 기반으로 한 영생의 본질을 전달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또한, 마르다 마리아 내러티브를 통해 영생이 인간의 응답과 말씀 청종을 포함하는 신앙 적 여정임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문맥적 접근과 문학적 기법이 서로 상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누가복음의 신학적 메시지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영생의 신학적 본질을 심화한다는 점을 강 조한다. 이를 통해 영생의 본질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더욱 풍부하게 확장하 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ternal life narrative, including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n Luke 9:51-11:13 from contextual, literary,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Traditional interpretations have primarily understood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an ethical lesson and an exemplary model of neighborly love. However, this study reinterprets the parable within the overall structure of Luke’s narrative as a redemptive-historical message and explores the theological essence of eternal life. To achieve this, the study transforms the sequential narratives of Luke into a contextual chiastic structure, revealing how the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eternal life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reinforce the theological message.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grates Inter-Narrative Structure, Intertextuality, and contextual narrative analysis to demonstrate tha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n the Lawyer’s Eternal Life Narrative is not merely an ethical teaching but a portrayal of the divine invitation to eternal life based on God’s grace and redemption. Additionally, through the narrative of Martha and Mary, the study highlights that eternal life involves human response and obedience to God’s word as part of a faith journey. Ultimately, this research underscores that contextual analysis and literary techniques do not conflict but rather function complementarily, thereby reinforcing Luke’s theological message an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eternal life.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seeks to enrich the theological comprehension of eternal life and contribute to the broader discourse on its redemptive-historical significan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누가복음 9:51-11:13의 단락적 교차대칭 구조
Ⅲ. 누가의 문학적 기법과 영생 내러티브
Ⅳ. 단락 구조를 통한 영생 해석의 전환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영출(Young-chool Oh). (2025).단락적 교차대칭 구조와 영생의 신학적 의미 -누가복음 9:51-11:13을 중심으로-. 기독교철학, (), 235-272

MLA

오영출(Young-chool Oh). "단락적 교차대칭 구조와 영생의 신학적 의미 -누가복음 9:51-11:13을 중심으로-." 기독교철학, (2025): 235-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