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교육에서 종교적 상상력의 역할: 마크 존슨의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The Role of Religious Imagination in Religious Education: Centering on Mark Johnson’s Concept of Moral Imagination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황진수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82권, 17~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마크 존슨의 ‘도덕적 상상력’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종교적 상상력과 연결하여 종교교육에서 종교적 상상력의 역할 및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존슨이 제시한 영상 도식, 은유적 사상, 원형 효과, 서사적 구조화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도덕적 상상력의 기능 및 역할을 분석하고, 이를 종교 영역에 적용하여 종교적 상상력이 종교 전통의 원형적 경험을 현재의 삶과 연결하고 종교적 의미를 구성하는 핵심 역량임을 논의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삶과 종교>에서 강조하는 융합적 사고력과 연계하여 종교적 상상력의 교육적 함의를 네 가지 실천 요소, 즉 1) 종교의 원형적 경험 숙고, 2) 자기 삶으로의 은유적․서사적 연결, 3) 궁극적 의미 탐색, 4) 창조적 실천으로 제시하고, 교과서 사례 분석을 통해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 상상력은 도덕적 상상력을 포괄하며 초월과 현실 사이의 긴장을 조화롭게 매개하는 인지적․실천적 능력이다. 둘째, 종교교육은 단순한 교리 전달을 넘어 학습자가 종교 전통을 자기 삶과 연결하고 사회적 책임과 평화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전인교육이어야 하며, 종교적 상상력은 그 핵심 역량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k Johnson’s concept of moral imagination and to connect it with religious imagination, thereby proposing the role and applications of religious imagination in the context of religious education. [Contents] Focusing on Johnson’s ideas—image schema, metaphorical mapping, prototype effects, and narrative structuring—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moral imagination and applies it to religion. It argues that religious imagination serves as a core capacity that connects archetypal experiences of religious traditions to everyday life, shaping religious meaning.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and Religion, four educational components are proposed: 1) reflection on archetypal experiences in religion, 2) metaphorical and narrative connection to one’s own life, 3) exploration of ultimate meaning, and 4) creative application to real-life issues. Textbook analysis explores their practical applicabilit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religious imagination encompasses moral imagination and functions as a cognitive and practical capacity that harmonizes the tens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reality. Second, religious education should go beyond mere doctrinal instruction to become holistic education that enables learners to actively integrate religious traditions into their own lives and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and peace. Religious imagination can serve as a core competency in this transformative proces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과 구조
Ⅲ. 도덕적 상상력과 종교적 상상력
Ⅳ. 종교적 상상력과 종교교육
Ⅴ. 나가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진수. (2025).종교교육에서 종교적 상상력의 역할: 마크 존슨의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 17-38

MLA

황진수. "종교교육에서 종교적 상상력의 역할: 마크 존슨의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2025): 17-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