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음선종의 단전 수행론과 그 교육적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Danjeon-Practice in ‘Kwan Um School of Ze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조용호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2권, 39~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숭산행원 선사가 창종한 관음선종의 단전 수행론을 고찰하고 그것이 현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관음선종의 핵심 선사상은 숭산의 유명한 언구인 ‘오직 모를 뿐’이다. 관음선종에서 이 ‘오직 모를 뿐’은 단전과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는데 그간의 연구들은 그것을 주목하지 않았다. 관음선종에서는 인체에서 머리를 ‘지식의 중심’, 가슴을 ‘감정의 중심’, 그리고 단전을 ‘모를 뿐의 중심’, ‘행동의 중심’으로 보며 호흡을 통해 머리와 가슴의 기운을 단전으로 끌어내리므로 해서 지식과 감정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은 주변 세계와의 조화를 이루는 길이기도 하며 그로 인해 상황에 따라 주변을 돕는 지혜로운 행위가 나타난다고 한다.
[결론] 19세기 말부터 도입된 서구식 근대 교육은 동양의 수행 전통을 배격하였으며 주지주의적 편향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갈등과 대립이 더욱 심해지고 있는 지금의 사회에서 지식과 감정의 조화, 그리고 나와 세계의 조화를 추구한 동양의 수행 전통을 살펴보는 것은 근대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대안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eory of the Danjeon-Practice in ‘Kwan Um School of Zen (KUSZ)’, founded by Zen Master Seung Sahn, and to examine its implication for current education.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will first examine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Dan-jeon in KUSZ and then describe the methodological aspests Dan-jeon (丹田, dantian, elixir field) partice taught in KUSZ. The famous teaching of Zen master Seung Sahn, “Only don’t Know,” is directly relate to Dan-jeon. According to KUSZ’s teaching, the head is considered the “center of thought,” the chest the “center of emotion,” and Dan-jeon the “center of action.” Through Dan-jeon breathing, it’s believed that we can achieve a balance between knowledge and emotion. And it’s also a path that harmonizes with the world around it.
[Conclusions] Western-style modern education, introduced in the late 19th century, has long dismissed Eastern spiritual tradition and been characterized by a strong emphasis on intellectualism. in today’s society, where conflict and tension are escalating, examining the Eastern tradition of balancing knowledge and emotions, and finding harmony between oneself and the world, can help us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and explore alternative approaches.
목차
Ⅰ. 서론
Ⅱ. 관음선종의 단전 수행론과 실제
Ⅲ. 관음선종의 단전 수행론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