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원불교 종립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Revitalization of Religious Educ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Focusing on Won Buddhism-Affiliated Schools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성희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82권,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삶과 종교」과목이 학습자들의 실생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실효성 있는 과목으로의 방향 전환에 주목하며 종교 교과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은 학점 기반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기 단위로 과목을 이수하고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한 점이다. 이로써 한국의 모든 종립학교는 적어도 두 가지 어려운 과제를 안게 되었다. 첫 번째,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생들의 선택권 보장과 종립학교 건학이념 실현을 위한 종교 교과 교육을 조화롭게 양립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두 번째, 종립학교의 건학이념 실현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종교 교과교육을 조화롭게 일치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결론] 본 연구는 학교 종교교육 활성화 방안을 네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한 종교교육 활성화 방안 둘째, 표면적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교육 활성화 방안 셋째,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교육 활성화 방안 넷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종교교육 활성화 방안이다. 본 논문은 종립학교에서만 개설되었던 종교교육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며 학생들의 참다운 인성교육을 위하여 종립학교 종교교사들의 연대를 통해 종교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asures to revitalize religious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Life and Religion’ course, und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o an effective subject that helps students address real-life issues. [Content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its restructuring into a credit-based, elective-oriented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complete courses and earn credits on a semester basis. As a result, all religion-affiliated schools in Korea now face at least two critical challenges: First, how can they harmoniously balance the guaranteeing of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s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th the provision of religious education that reflects the founding philosophy of the schools? Second, how can they align the implementation of their founding ideals with the teaching of religious subjects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four strategies for revitalizing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1. Emphasizing character education, 2. Through the explicit (formal) curriculum, 3. Through the hidden (informal) curriculum, and 4. B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It questions the conventional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which has been confined to religion-affiliated schools, in pursuit of more genuine character education for students. Furthermore, it calls for discussions on revitalizing the ‘Life and Religion’ course through a cooperative network of religion teachers from regional religion-affiliated schools, working together beyond denominational boundaries.

목차

Ⅰ. 서론
Ⅱ. 학교 종교교육의 현황
Ⅲ. 종교 교과 교육 활성화 방안
Ⅳ. 요약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희. (2025).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원불교 종립학교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 1-16

MLA

이성희.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원불교 종립학교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2025):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