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udents’ Perceptions of EMI Class Experiences: Insight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이용수  1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조영상(Youngsang Cho) 존프랜지스(Franzese, Joh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03~2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서 제공되는 영어 매개 수업(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조사하고, 국내 학생과 국제 학생 간의 관점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4년 가을 학기 수업에 참여한 총22명의 학생(국내 학생 10명, 외국인 유학생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은 주로 5점 리커트 척도, 객관식질문, 개방형 질문을 포함한 설문조사와 후속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후속 인터뷰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보강하기 위해실시되었으며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에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수업 활동 중 교사 주도 활동이 가장 유용하다고 평가한 반면, 독립적인으로 이루어진학생 주도 활동이나 개인 활동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그룹 발표와 학생 주도의 그룹 토론에 대해 국내학생과 외국인 유학생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두 학생 그룹의 교육적 배경과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분석되었다. 영어 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국내 학생들이 외국인 유학생들 보다 더 높은 향상을 경험했다고 보고하였으나, 두 학생 그룹 모두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데 필요한 영어 사용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얻은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MI 교수법과 정책 개선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과, 향후 EMI 프로그램의 효과적인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students’ views on their experiences in an EMI course offered in a Korean university setting and examines any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A total of 22 students, 10 Korean students and 12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the fall 2024 semester, took part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consisted primarily of a survey with 5-point Likert scale questions,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pen-ended questions.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mplement the survey findings by gain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verall, students expressed favorable views of the class, with teacher-led activities being rated as the most helpful, while individual activities or student-led activities completed independently were less effective. However,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ir views on group presentations and student-led group discussions, which were attributed to their varying educational backgrounds and cultural differences. Regarding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Korean students perceived higher improvement than international students. However, it appears that both student groups developed valuable insight to their understanding of using English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students of varying backgroun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everal key implications for EMI pedagogy and policy are discussed.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상(Youngsang Cho),존프랜지스(Franzese, John). (2025).Students’ Perceptions of EMI Class Experiences: Insight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교양교육연구, 19 (2), 203-224

MLA

조영상(Youngsang Cho),존프랜지스(Franzese, John). "Students’ Perceptions of EMI Class Experiences: Insight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교양교육연구, 19.2(2025): 203-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