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revalence of ChatGPT Usage for Liberal Arts English Homework Assignment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이용수  2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스튜어트 존스(Stuart Jones) 앤드류 리차드스(Andrew Richards)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59~17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대학교에 등록된 영어 학습자(EFL 학습자)들이 영어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과제 수행을 돕기위해 ChatGPT를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이 미래에 어떠한 역할을 하기를 원하는지에대한 선호도도 조사되었다. 261명의 학생이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이후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일반적인 질적 분석을, 객관식 및 리커트 척도 질문에 대해서는 기술 통계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동의가있는 경우, 이메일 및 화상 통화를 통해 응답 내용을 보다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전반적으로 ChatGPT의 활용도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급 수준의 영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다른 수준의 학생들보다 더 자주 ChatGPT를 사용하는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높은 활용도에도 불구하고, 일부 응답자는 언어 학습 과정에 대한 주체성, 기술에 대한불신, 그리고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에 의존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등의 이유로 ChatGPT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ChatGPT가 학문적 환경에 통합되는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명확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영어 강사들이 ChatGPT 사용에 대해 보다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행정 차원에서학생들이 과제 수행 시 ChatGPT를 윤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행정적 및 교육적 측면에서 가지는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o what extent EFL learners enrolled at a Korean university are using ChatGPT to assist with homework assignments in courses taught in English. Preferences on the role this technology has in the future were also explored. 261 students completed a 20-item survey questionnaire from which data was subsequently analyzed using general qualitative analysis for open ended questions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multiple choice and Likert scale questions. If permission was granted, respondents were then contacted to discuss responses in greater detail through the use of email and video calls. Overall, the prevalence of ChatGPT was high; however, students placed in intermediate level English classes appear to rely on it more often than those placed in other levels. Despite this high prevalence, some respondents indicated they chose not to use ChatGPT due to factors such as ownership of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distrust of this technology, and reluctance to rely on AI based technology. Moving forward, there are clear indications that changes need to be made in how ChatGPT is integrated into academic settings. Respondents from this context appear to desire a greater level of flexibility from their English instructors on how they are allowed to use it. Furthermore, there is a space for more robust guidelines from university administration on how students can use ChatGPT for homework assignments in an ethical manner. Administration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uch findings are also discussed.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6. Limit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스튜어트 존스(Stuart Jones),앤드류 리차드스(Andrew Richards). (2025).Prevalence of ChatGPT Usage for Liberal Arts English Homework Assignment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교양교육연구, 19 (2), 159-176

MLA

스튜어트 존스(Stuart Jones),앤드류 리차드스(Andrew Richards). "Prevalence of ChatGPT Usage for Liberal Arts English Homework Assignment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교양교육연구, 19.2(2025): 159-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