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와 생명윤리를 위한 교양 교과목 제안 - 서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용수 55
- 영문명
- Proposal for a Liberal Arts Course on AI and Bioethics: A Narrative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주현식(Hyunshik Ju)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2호, 93~10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 차원에서 교과목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서사적접근법을 중심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 두 가지로 설정된다. 첫째, AI 생명윤리 교과목의 교육 내용은 어떤 주제로 구성될 수 있는가? 둘째, AI 생명윤리 교수-학습 과정은어떤 흐름으로 설계될 수 있는가? 연구 결과, 교육 내용은 ‘AI 생명윤리의 이론적 배경’, ‘AI 기반생의학의 윤리적 쟁점’, ‘AI 기반 생명공학의 윤리적 쟁점’, ‘인간 대상 연구에서 AI의 역할과 연구윤리’, ‘AI 생명윤리와 관련된 법과 제도’ 등 다섯 가지 교육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은 ‘관계와 상황에 대한 숙의’, ‘윤리 원칙에 대한 숙의’, ‘감정에 대해 숙의’, ‘최종책임의 지속성 및 공공성에 관한 숙의’, ‘최종 결정에 대한 반 전체 구성원의 상호 피드백 및 성찰과정을 동반한 숙의’ 등 다섯 가지 단계로 설계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AI 시대에 실제로 직면하게될 생명윤리적 딜레마를 현실의 임상 경험과 연결하여 교육할 경우, 윤리적 사고와 감수성을 키우면서, 학습자들이 현실에서 윤리적 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a liberal arts course titled AI and Bioethics, with a focus on the narrative approach. The research addresses two main questions: (1) What top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for an AI and bioethics course? (2) How shoul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AI bioethics be structur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urse content can be structured into five educational modules: (1) Theoretical foundations of AI bioethics, (2) Ethical issues in AI-based biomedicine, (3) Ethical issues in AI-based biotechnology, (4) The role of AI in human subject research and research ethics, (5)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AI bioethics. Additionall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an be designed in five stages: (1) Deliberation on relationships and contexts, (2) Deliberation on ethical principles, (3) Deliberation on emotions, (4) Deliberation on the continuity of ultimate responsibility and public accountability, (5) Deliberation involving peer feedback and self-reflection on the final decision.
By linking bioethical dilemmas encountered in the AI era with real-world clinical experiences, this educational approach can effectively foster ethical reasoning, moral sensitivity, and the ability to make ethical decisions in practical contexts.
목차
1. 서론
2. AI와 생명윤리의 이론적 틀
3. AI와 생명윤리를 위한 교양 교과목 설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목차
- 한나 아렌트의 시선으로 교양교육 성찰하기
-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 제안 및 사례 연구
- AI 시대,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방향 - 학습자의 초·중등 교육과정 이수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전공 계열에 따른 대학생의 읽기 활동과 인식 분석
- AI와 생명윤리를 위한 교양 교과목 제안 - 서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 사회혁신역량 교과로서의 한국어 화용론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내 교수자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 - AI·SW 교양교과 분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 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
- Prevalence of ChatGPT Usage for Liberal Arts English Homework Assignment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 ChatGPT in English Learning: A Machine Learning Perspective
- 한국어교육에서 하브루타 적용 방안 연구
- 프로젝트기반학습 대학교양 수업사례 - ChatGPT를 활용한 과제수행 및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 Students’ Perceptions of EMI Class Experiences: Insight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