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공 계열에 따른 대학생의 읽기 활동과 인식 분석
이용수 14
- 영문명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Reading Activities and Perceptions Based on Academic Disciplin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해인(Haein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2호, 59~7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독서 실태를 깊이 있게 알아보기 위하여 전공 계열별로 대학생의 읽기 활동과인식을 나누어서 탐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제기한다. 첫째, 대학생들의 독서량이 과거보다 급격히 감소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기초 학력 부진과 문해력 부족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독서 활동이 양극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대학생들은 온라인 정보읽기를 매우 선호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이것은 독서량이 감소하지는 않았으나 깊이 있는읽기를 어려워하는 대학생들의 읽기 실태를 잘 보여주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독서가 ‘학업’보다‘삶과 생활’에 더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이는 독서와 학업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대학에서 독서를 학문적 성취와 연결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전공 계열별로 독서 목적과이유도 차이를 보였는데, 인문사회계열은 여가와 만족을 위해, 이공계열은 학업과 과제 수행을 위해독서를 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비독서의 이유로 인문사회계열은 외부적 요인(학업, 취업 준비 등), 이공계열은 내적 요인(비용, 독서 습관 부족 등)을 주로 꼽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전공 계열에 따른맞춤형 독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university students’ reading activities and perceptions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m based on academic disciplines. The findings reveal three key insights. First, although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decline in students’ overall reading volume compared to previous decades, concerns regarding basic academic proficiency and literacy deficiencies persist, with an increasing polarization in reading habits. Notably, students exhibited a strong preference for online reading, suggesting that while the quantity of reading has not decreased, the depth of engagement with texts has weakened. Second, students perceived reading as more beneficial for “life and daily living” rather than for “academic performance.” This indicates a weak linkage between reading and academic success, emphasizing the need for educational strategies that integrate reading with academic development. Third, notable differences emerged across academic disciplines regarding reading purposes and motivations. Humanities students primarily read for leisure and personal enrichment, whereas STEM students engaged in reading mainly for coursework and academic requirements. Furthermore, the reasons for not reading varied: humanities students cited external factors such as academic workload and job preparation, while STEM students identified internal factors such as financial constraints and a lack of established reading habit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discipline-specific read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students’ academic needs and reading behaviors.
목차
1. 서론
2.대학생 독자의 독서 실태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목차
- 한나 아렌트의 시선으로 교양교육 성찰하기
-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 제안 및 사례 연구
- AI 시대,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방향 - 학습자의 초·중등 교육과정 이수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전공 계열에 따른 대학생의 읽기 활동과 인식 분석
- AI와 생명윤리를 위한 교양 교과목 제안 - 서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 사회혁신역량 교과로서의 한국어 화용론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내 교수자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 - AI·SW 교양교과 분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 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
- Prevalence of ChatGPT Usage for Liberal Arts English Homework Assignment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 ChatGPT in English Learning: A Machine Learning Perspective
- 한국어교육에서 하브루타 적용 방안 연구
- 프로젝트기반학습 대학교양 수업사례 - ChatGPT를 활용한 과제수행 및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 Students’ Perceptions of EMI Class Experiences: Insight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