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시대,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방향 - 학습자의 초·중등 교육과정 이수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85
- 영문명
- Direc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Writing Education in the Age of AI : Focusing on Learner Transitions across the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장성민(Sungmin Ch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2호, 39~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AI를 활용한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I 시대에 교양 글쓰기 과목의 정체성을 고찰하고(2장), 2022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학습자 특성에 맞는 방향성을 제시하며(3장), 기존의 교수·학습 논의들을 검토하여 대학의 역할을 탐색하였다(4장). 장기적으로는 다문서 읽기, 복합양식(성), 정보보안, 디지털 시민성, 사회적 실천 등과 관련된 고등 사고 능력이 더욱 강조되며, 비판적·창의적 역량또한 중요하게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AI 시대의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주요 쟁점을 탐구하고,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effective teaching of writing with AI in liberal arts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liberal arts writing subject in the age of AI (Chapter 2), analyzes the 2022 rev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o suggest directions for learner characteristics (Chapter 3), and explores the role of universities by reviewing previous teaching and learning studies (Chapter 4). In the longer term,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related to multiple document comprehension, multimodality, information security, digital citizenship, and social action are expected to be emphasized, as are critical and creative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major issues that may arise in liberal arts writing education in the AI era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ustomized education that reflects learner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AI 시대의 교양 글쓰기 과목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
3. 대학 교양 글쓰기 학습자의 변화: 2022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검토
4. 대학 역할 탐색: AI를 활용한 글쓰기의 맥락, 교육 내용, 교육 방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목차
- 한나 아렌트의 시선으로 교양교육 성찰하기
-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 제안 및 사례 연구
- AI 시대,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방향 - 학습자의 초·중등 교육과정 이수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전공 계열에 따른 대학생의 읽기 활동과 인식 분석
- AI와 생명윤리를 위한 교양 교과목 제안 - 서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 사회혁신역량 교과로서의 한국어 화용론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표준화 교육과정내 교수자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 - AI·SW 교양교과 분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 교양 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
- Prevalence of ChatGPT Usage for Liberal Arts English Homework Assignments at a Korean University : A Case Study
- ChatGPT in English Learning: A Machine Learning Perspective
- 한국어교육에서 하브루타 적용 방안 연구
- 프로젝트기반학습 대학교양 수업사례 - ChatGPT를 활용한 과제수행 및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 Students’ Perceptions of EMI Class Experiences: Insight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