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Potential of Classical Literature in Address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 Focusing on a Satirical Novel Writing Class on Outsourcing Us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예인(Yaein Hwang)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405~44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전문학이 현대 사회 문제를 탐구하는 사고의 틀로 역할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풍자소설 창작이 학습자가 현대 사회 문제를 비판적·창의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서울 소재 고등학교 3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 작품을 ‘서사적 틀’,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허생전>의 서사 구조를 변주하여 현대 경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서사적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허생의 문제 해결 방식을 현대적 맥락에서 변용하거나, 기존 경제 구조에 대한 대안을 창출하는 창의적 시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고전문학이 현대 사회 문제를 분석하는 사고의 틀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 주며, 고전문학을 활용한 풍자소설 창작이 학습자의 문제 해결적 사고를 심화하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classical literature can serve as a cognitive framework for explor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atirical novel creation on students’ ability to critically and creatively examine modern societal problems. Methods: A satirical novel writing class utilizing Heosaengjeon was conducted with 187 high school seniors in Seoul. Student works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criteria: “narrative framework,”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Results: Students transform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Heosaengjeon to explore contemporary economic issues and to narratively conceptualize solutions. Notably, they creatively adapted Heosaeng’s problem-solving approach to modern contexts or devised alternative solutions to existing economic structures. Conclusion: his study demonstrates that classical literature can function as a cognitive framework for analyz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Moreover, it confirms that the creation of satirical novels using classical literature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enhancing students’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reasoning skill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전문학을 통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의 교육적 의의
3.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교육 설계
4.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교육 실제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 문학 소통의 구조와 교육 방안 - 생태학적 비평을 활용하여
- 서사적 자아로서 작중인물의 정체성 읽기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클리드 거리 기반 모국어의 영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ㅡ/, /ㅓ/, /ㅗ/, /ㅜ/ 발음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제고 방안 - 문말 억양과 끊어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연구
- 리토러시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주도적 구어 활동 사례 분석
- 텍스트의 정보 표현 방식이 독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고도구어(Academic Vocabulary) 번역 용어의 다양화와 개념의 확장
- 형태소 교육의 내용 재구성 방안
- 매체문학으로서의 유튜브 코믹스 분석
-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에 개인차 변인이 미치는 영향
-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의 드라마 역번역 활동을 통한 한·튀 언어문화 차이 인식 연구
- TRANS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 초학문적 융합 접근을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