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iscourse Strategy of Jeong Cheol’s “Hunminga” as Genre Knowledge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오영창(Youngchang Oh)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2호, 283~3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학습자가 작품과 대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르지식, 즉 <훈민가>의 화자 정체성과 그에 따른 진술방식을 탐색한다. 방법: <훈민가>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연구사 및 교육 현장에서 다뤄지는 <훈민가>의 교육 내용을 확인하는 한편, 문헌 및 이론 연구를 통해 장르지식을 정의하고 <훈민가>의 장르지식을 제시한다. 결과: 정철 <훈민가>의 장르지식이란 작품의 진술주체의 목소리를 온전히 듣고 그에 따른 작품의 진술방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식이다. <훈민가>는 교훈의 전달이라는 뚜렷한 목적 아래 정서적 파문까지 실현하기 위해 공적 정체성과 개인적 정체성이라는 화자 정체성을 전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진술방식을 달리한다. 작자 자신의 순수한 체험영역을 진술하는 개인적 정체성을 내세워 독자와 같은 위치를 공유함으로써 독자와 수평적 관계를 이루어 공감을 통한 설득을 이루는 한편, 사회·도덕적으로 우위에 있는 공적 정체성을 내세워 독자와 수직적 관계를 이룸으로써 독자에게 하달하는 말하기 방식으로 구체적인 규범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도 한다. 결론: 텍스트의 서정성과 교술성의 농도를 결정하는 화자 정체성 및 진술방식이라는 장르지식의 안내를 통해, 학습자가 내포 독자의 역할에 충실히 복무하는 한편 작품의 고유한 체험에 이르는 실제 독자로서의 역할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genre knowledge that guides learners to engage in dialogue with Jeong Cheol’s “Hunminga”,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speaker’s identity and its corresponding discourse strategies. Methods: The study examines the research history of “Hunminga’s” rhetorical patterns and its current educational content, while defining genre knowledge and presenting “Hunminga’s” genre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research. Results: The genre knowledge of “Hunminga” serves as a guide to fully comprehend the voice of the subject and understand the work’s discourse strategies. Under the clear purpose of conveying moral lessons while achieving emotional resonance, “Hunminga” employs different discourse strategies by strategically choosing between public and personal speaker identities. By presenting a personal identity that shares the author’s pure experiential domain, it establishes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readers, achieving persuasion through empathy. Conversely, by presenting a public identity that holds social and moral authority, it establishes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readers, directing them to perform specific norms through a top-down speaking manner. Conclusion: Through the guidance of genre knowledge - specifically regarding speaker identity and discourse strategies that determine the intensity of both lyrical and didactic qualities - we expect learners to faithfully serve their role as implied readers of “Hunminga” while progressing toward their role as actual readers who can achieve the work’s unique experiential dimensions.

목차

1. 서론
2. 장르지식으로서 화자의 진술방식
3. 진술방식의 조건으로서 화자 정체성
4. <훈민가>의 화자 정체성과 진술방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영창(Youngchang Oh). (2025).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새국어교육, (), 283-314

MLA

오영창(Youngchang Oh).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새국어교육, (2025): 283-3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