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Writing Feedback in AI Coursewar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효원(Hyowon An) 나현수(Hyunsu Na) 하채희(Chaehui Ha) 송용창(Yongchang Song)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183~21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글쓰기 평가에서 AI 코스웨어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학생 글을 평가한 AI 코스웨어의 피드백 보고서에 대한 교사 인식을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하여 범주화하였으며, 면담을 통하여 인식 기술에 대한 내용을 보충·명료화하였다. 결과: 질적 내용 분석 결과 AI 코스웨어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는 ‘예시 제공’과 ‘오류 지적’의 두 범주가 도출되었다. 부정적 인식으로는 타당성 측면에서 ‘장르 문법에 대한 고려 부족’, ‘필자 요인에 대한 인식 부족’, ‘교육적 효과에 대한 고려 부족’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신뢰성 측면에서 ‘일관성 부족’, ‘구체성 부족’, ‘정확성 부족’의 세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피드백의 질적 측면에서 AI 코스웨어가 교사를 대체하기 어려운 지점들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교사의 역할과 AI의 역할을 구분하여 수행·활용해야 하며, 글 고쳐쓰기 수업의 효율성 제고, 학습자의 피드백 문식성 수준 등을 고려하여 AI 코스웨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f writing feedback provided by AI courseware and explore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future writing assessments. Method: Teachers’ perceptions of feedback reports generated by AI courseware for student writing were categori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upplement and clarify their descriptions of their perceptions. Result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vealed two categories of positive perceptions: ‘provision of examples’ and ‘error identification.’ In contrast, negative perceptions were classified into validity-related and reliability-related concerns. Validity- related concerns included ‘lack of consideration for genre grammar’, ‘lack of awareness of writer-related factors’,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Reliability-related concerns encompassed ‘lack of consistency’, ‘lack of specificity’ and ‘lack of accuracy.’ Conclusion: Given that AI courseware has limitations in replacing human teachers in terms of the qualitative aspects of feedback, it is essential to distinguish between the roles of teachers and AI in writing assessment and feedback. AI courseware is expected to be utilized effectively to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human teachers and enhance students’ feedback literac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 문학 소통의 구조와 교육 방안 - 생태학적 비평을 활용하여
- 서사적 자아로서 작중인물의 정체성 읽기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클리드 거리 기반 모국어의 영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ㅡ/, /ㅓ/, /ㅗ/, /ㅜ/ 발음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제고 방안 - 문말 억양과 끊어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연구
- 리토러시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주도적 구어 활동 사례 분석
- 텍스트의 정보 표현 방식이 독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고도구어(Academic Vocabulary) 번역 용어의 다양화와 개념의 확장
- 형태소 교육의 내용 재구성 방안
- 매체문학으로서의 유튜브 코믹스 분석
-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에 개인차 변인이 미치는 영향
-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의 드라마 역번역 활동을 통한 한·튀 언어문화 차이 인식 연구
- TRANS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 초학문적 융합 접근을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