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irst and Second Grad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윤(Jongyoon Choi) 이경화(Kyeonghwa Lee)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9~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1∼2학년군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현장적합성에 관한 만족도를 조사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새 교과서의 특징을 탐구해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고 1, 2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129명,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결과: 새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와 학생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매우 높음’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장점으로 체계적인 한글 학습, 다양한 학습 자료 활용, 적절한 난이도와 학습 분량, 학생 중심 활동 강화 의견이 있었고, 교과서의 개선점으로는 수준별 학습 자료 부족, 학습 분량 및 난이도 조정 필요, 자기주도학습의 실효성, 쓰기 과제와 쓰기 활동의 과다 의견이 나타났다. 결론: 새 교과서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개선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Grades 1 and 2 in elementary school by investigating user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field applicability.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books were examined to develop survey questions. A total of 129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first and second grade and 6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ported an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very high” with the new textbooks. The strengths identified included a systematic approach to Hangeul learning, the utilization of diverse learning materials, appropriate difficulty levels and learning volume, and an emphasis on student-centered activities. However, areas for improvement were also noted, such as the lack of differentiated learning materials, the need for adjustments in learning volume and difficulty, concer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n excessive number of writing tasks and activities. Conclusion: Continuous evaluation of the new textbooks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ddress their limitations, ensuring ongoing improvemen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설계
3. 분석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 문학 소통의 구조와 교육 방안 - 생태학적 비평을 활용하여
- 서사적 자아로서 작중인물의 정체성 읽기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클리드 거리 기반 모국어의 영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ㅡ/, /ㅓ/, /ㅗ/, /ㅜ/ 발음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제고 방안 - 문말 억양과 끊어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연구
- 리토러시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주도적 구어 활동 사례 분석
- 텍스트의 정보 표현 방식이 독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고도구어(Academic Vocabulary) 번역 용어의 다양화와 개념의 확장
- 형태소 교육의 내용 재구성 방안
- 매체문학으로서의 유튜브 코믹스 분석
-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에 개인차 변인이 미치는 영향
-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의 드라마 역번역 활동을 통한 한·튀 언어문화 차이 인식 연구
- TRANS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 초학문적 융합 접근을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