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이용수 0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iteracy Diagnostic Tool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남(Gyeongnam Lee)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125~1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별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문해력 진단 도구를 개발 시 고려해야 하는 쟁점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 연구는 문해력 진단 도구가 진단 도구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활용되는 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학습자 맞춤형 개별 학습의 자료로 진단 도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진단 도구의 정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연구의 범위는 문해력 진단 도구 중 국내, 국외에서 활용되는 진단 도구를 분석했다. 결과: 첫째, 어떤 문해력을 평가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둘째, 어떻게 문해력을 평가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셋째, 진단 도구는 장기간 활용 후 수정 및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문해력 진단 도구의 성격과 활용 목적이 명료해야 한다. 결론: 향후, 문해력의 본질과 취지 및 활용 방법에 맞게 개선된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학습자 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dividual status of literacy diagnostic tools and to present issues and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literacy diagnostic tools in the futur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ssues and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Metho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use of literacy diagnostic tools without considering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diagnostic tools. In order to use diagnostic tools as data for individual learning tailored to learn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sistency of diagnostic tools. The scope of the study analyzed diagnostic tools used at home and abroad among literacy diagnostic tools. Results: First, you need to consider what kind of literacy you will evaluate. Second, you need to consider how to evaluate literacy. Third, diagnostic tools should be modified and improved after long-term use. Fourth, the nature and purpose of use of the literacy diagnostic tool should be clear. Conclus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mproved diagnostic tools according to the nature,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literacy, and to prepare a system to continuously reflect and improve learner dat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해력 진단 도구의 현황
3. 문해력 진단 도구 개발의 쟁점과 과제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 문학 소통의 구조와 교육 방안 - 생태학적 비평을 활용하여
- 서사적 자아로서 작중인물의 정체성 읽기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클리드 거리 기반 모국어의 영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ㅡ/, /ㅓ/, /ㅗ/, /ㅜ/ 발음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제고 방안 - 문말 억양과 끊어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연구
- 리토러시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주도적 구어 활동 사례 분석
- 텍스트의 정보 표현 방식이 독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고도구어(Academic Vocabulary) 번역 용어의 다양화와 개념의 확장
- 형태소 교육의 내용 재구성 방안
- 매체문학으로서의 유튜브 코믹스 분석
-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에 개인차 변인이 미치는 영향
-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의 드라마 역번역 활동을 통한 한·튀 언어문화 차이 인식 연구
- TRANS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 초학문적 융합 접근을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