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Minor Literature in
and Its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은(Jeongeun Kim)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315~34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그림책 <레스토랑 Sal>의 소수 문학적 특성과 의미를 탐구하고, 그 문학교육적 의의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소수 문학의 세 가지 자질인 ‘언어의 탈영토성’, ‘개인과 정치의 연관성’, ‘언표행위의 집단적 배치’를 바탕으로 그림책 <레스토랑 Sal>의 특성과 소수 문학적 자질이 구현된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해당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결과: <레스토랑 Sal>은 ‘작가의 소수적 정체성’, ‘탈영토화된 언어로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사용’, ‘다수적 목소리와 소수적 침묵의 대비’라는 소수 문학적 특성을 지니며, 다수적 권력을 비판하고 주류적 관습을 해체하는 소수 문학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레스토랑 Sal>이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성찰의 촉진’, ‘다층적 해석 능력의 신장’, ‘가치 교육 및 윤리적 실천의 계기’, ‘연령을 초월한 문학적 경험의 제공’의 측면에서 문학교육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지님을 제시하였다. 결론: 소수적인 그림책은 주류적 사고와 관습적 서사를 넘어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성찰을 촉진하는 강력한 매체이며, 해석 교육과 가치 교육 차원에서 연령을 초월하여 활용될 수 있는 교육적 도구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as a work of minor literature and to examine its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Based on the three attributes of minor literature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deterritorialization of language,” “conne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political,” and “collective arrangement of enunciation”-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ways in which its minor literary qualities are realized.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its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Results: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minor literature, including “the author’s minor identity,” “the use of grotesque imagery as deterritorialized language,” and “the contrast between dominant voices and minor silence.” It can be interpreted as a work of minor literature that critiques dominant power structures and deconstructs mainstream conventions. Based on this analysis, is considered to hold literary educational value and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ethical reflection,” “the enhancement of multilayered interpretive skills,” “a catalyst for value education and ethical practice,” and “the provision of a literary experience that transcends ag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inor picture books serve as powerful media for fostering critical thinking and ethical reflection beyond mainstream thought and conventional narratives. They can function as educational tools applicable across different age groups, particularly in the contexts of interpretive and value-based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소수 문학과 그림책
3. 소수적인 그림책으로서 <레스토랑 Sal>의 특성
4. 『레스토랑 Sal』에서 탈주의 끝과 문학교육적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 문학 소통의 구조와 교육 방안 - 생태학적 비평을 활용하여
- 서사적 자아로서 작중인물의 정체성 읽기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클리드 거리 기반 모국어의 영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ㅡ/, /ㅓ/, /ㅗ/, /ㅜ/ 발음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제고 방안 - 문말 억양과 끊어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연구
- 리토러시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주도적 구어 활동 사례 분석
- 텍스트의 정보 표현 방식이 독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고도구어(Academic Vocabulary) 번역 용어의 다양화와 개념의 확장
- 형태소 교육의 내용 재구성 방안
- 매체문학으로서의 유튜브 코믹스 분석
-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에 개인차 변인이 미치는 영향
-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의 드라마 역번역 활동을 통한 한·튀 언어문화 차이 인식 연구
- TRANS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 초학문적 융합 접근을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