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이용수 0
- 영문명
- Types of Books and Reader’s Existence : Based onDeleuze and Guattari’s Chapter 1 ‘Rhizom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도남(Donam Kim)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2호, 83~12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논의는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을 탐구한다. 방법: 들뢰즈와 과타리가 『천 개의 고원』 1장(리좀)에서 논의한 책의 유형을 토대로 한다. 결과: 독자 존재성은 독자의 책 읽기에 내재한 활동 특성이다. 이 독자 존재성은 책의 유형과 관계가 있다. 책의 유형은 리좀(뿌리줄기)의 개념을 활용해 뿌리-책, 수염뿌리-책, 리좀-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뿌리-책은 중심이 되는 일자(一者)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진 책이다. 이 유형의 책을 읽는 독자는 일자를 이해할 수 있는 근본적 통일성이 내재한 독자 존재성을 갖는다. 둘째, 수염뿌리-책은 하나의 중심이 되는 내용에서 비롯된 책으로 책마다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유형의 책을 읽는 독자는 각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들 책의 내용을 하나로 묶어서 이해할 수 있는 총체화의 통일성을 지향하는 독자 존재성을 갖는다. 셋째, 리좀-책은 책의 내용이 장이나 항목별로 완결된 독립성이 있으면서 일련의 관련성이 내재한다. 이 유형의 책을 읽는 독자는 개체적 의미나 특개성으로 자기 생성을 하는 국지적 생성성이 내재한 독자 존재성을 갖는다. 결론: 독자는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을 인식하여 읽기를 실행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discussion explores the types of books and the reader’s existence. Methods: Based on the types of books discussed by Deleuze and Guattari’s Chapter 1 ‘Rhizomes’. Results: The reader’s existence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ader reading and understanding a book. This reader’s existence is related to the types of books. The types of books can be divided into root-books, fascicular-books, and rhizome-books using the concept of rhizomes. First, root-books are books wit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One. The reader who reads this type of book has a reader’s existence inherent in the fundamental unity that allows him to understand the One. Second, fascicular-books are books derived from a central book and contain different content for each book. The reader who reads this type of book has a reader’s existence that aims for the unity of totalization that allows him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each book an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se books as one. Third, rhizome-books have the independence of the content of the book being complete in chapters or items, while also having a series of relationships inherent in them. Readers of this type of book have a reader’s existence inherent in local generativity that creates itself with individual meaning or uniqueness. Conclusion: Readers must read by recognizing the type of book and reader’s existence.
목차
1. 서언
2. 책의 유형
3. 독자 존재성
4. 결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 문해력 진단 도구의 개발 현황과 과제
- AI 코스웨어의 글쓰기 피드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장르지식으로서 정철 <훈민가>의 진술방식 연구
- <레스토랑 Sal>에 나타난 소수 문학적 특성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 문학 소통의 구조와 교육 방안 - 생태학적 비평을 활용하여
- 서사적 자아로서 작중인물의 정체성 읽기와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 -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클리드 거리 기반 모국어의 영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ㅡ/, /ㅓ/, /ㅗ/, /ㅜ/ 발음을 중심으로
- 베트남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 제고 방안 - 문말 억양과 끊어 읽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연구
- 리토러시 활동 중심의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주도적 구어 활동 사례 분석
- 텍스트의 정보 표현 방식이 독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고도구어(Academic Vocabulary) 번역 용어의 다양화와 개념의 확장
- 형태소 교육의 내용 재구성 방안
- 매체문학으로서의 유튜브 코믹스 분석
- 고전문학을 활용한 현대 사회 문제 탐구 가능성 - <허생전>을 활용한 아웃소싱 풍자소설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에 개인차 변인이 미치는 영향
-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의 드라마 역번역 활동을 통한 한·튀 언어문화 차이 인식 연구
- TRANS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 초학문적 융합 접근을 통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2호 목차
- 2022 개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학생 만족도 조사
- 책의 유형과 독자 존재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장 리좀’을 토대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