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李日华的书法史观和书学要求
이용수 0
- 영문명
- Li Rihua's Views on Calligraphic Historiography and Calligraphic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Huang jin-Jua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6호, 283~3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일화(李日華, 1565년 - 1635년)는 명나라 말기에 문학가, 수집가, 감상가로서 평생을 서화 연구에 바쳤다. 그의 저술은 매우 풍부하다. 이일화가 살았던 만명 시기는 다양한 사조가 융합되고 학술 사상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사상 체계 또한 다원화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명대 사학자로서 이일화의 사유 방식 또한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현재 이일화의 서학 사상에 대한 연구 자료는 비교적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료와 현대 연구 논저를 결합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이일화의 다양한 저작과 발문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서예사관과 서학적 요구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체와 서가의 관점에서 이일화의 서예사관을 정리함으로써, 명대 고급 지식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서예의 주요 맥락과 그가 인식한 서예 정통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첫째, 이일화의 사상적 기초는 유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그의 서학적 요구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 그는 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서학에 대해 다수의 형이상학적 요구를 제시하였다. 둘때,그는 서예 학습을 성령론(性靈論)과 연결하여 이해하였고, 흉차론(胸次論)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이러한 견해를 토대로 그는 서예 학습에 대한 독창적인 논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일화와 같이 다양한 교류를 통해 여러 신분을 지닌 명말 학자들의 서학적 관점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학자들의 서학적 태도와 그 형성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이일화의 개성적인 서학 사상을 탐색, 고찰함으로써 그의 서학에 대한 가치 평가를 재검토하고, 나아가 명말 서학 사상 연구에 새로운 시각과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Li Rihua (1565–1635) was a renowned literary figure, collector, and connoisseur in the late Ming Dynasty. Throughout his life, he devoted himself to calligraphy and painting, producing a wealth of writings. The late Ming period, in which Li Rihua lived, wa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various intellectual currents, resulting in a highly complex and pluralistic academic landscape. In this historical context, Li Rihua, as a Ming scholar-official,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his mindset.
Currently, there is still a scarcity of research on Li Rihua's calligraphic thought. This paper adopts a dual approach that combines historical materials with contemporary scholarly works, using Li Rihua’s extensive writings and colophons as a foundation to systematically summarize and analyze his views on the history of calligraphy and his requirements for calligraphic learning.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outline Li Rihua's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s on calligraphy and the essential criteria for learning calligraphy.
From the perspectives of calligraphic styles and calligraphers, this paper examines Li Rihua’s historical views on calligraphy, exploring the key themes in calligraphy and its orthodox evolution as perceived by this high-ranking Ming scholar. Li Rihua’s calligraphic learning requirements were deeply influenced by his Confucian background. Within this framework, he proposed several metaphysical principles for calligraphy learning: first, the “Theory of Innate Spirit in Calligraphy,” and second, the “Theory of Broad-mindedness in Calligraphy.” Based on these principles, he presented profound insights into the study of calligraphy.
By analyzing the calligraphic perspectives of Li Rihua, a late Ming scholar with extensive social connections and multiple identities, we can reconstruct the general calligraphic attitudes and the underlying causes of calligraphic thought among late Ming scholars. Furthermore, by examining Li Rihua’s unique calligraphic ideas, we can reassess the value of his calligraphic thought, providing an additional perspective and case study for research on late Ming calligraphic thought.
李日华(1565年-1635年)是明末享有盛名的文学家、收藏家和鉴赏家,其一生寄情于书画,著述丰富。李日华生活的晚明时期,思潮融合,学术思想极其复杂,思想体系呈现出多元化的面貌。处于这样的一个历史时期,作为明代士人的李日华心态也发生了重大变化。 目前关于研究李日华书学思想的资料还比较少,笔者在此拟用史料和当代人论著二重结合的方法,以李日华的大量著作和题跋为根基,对其书法史观和书学要求进行系统的归纳和梳理,从而勾勒出李日华对书法史观念和书学要求的总体认识。 本文从书体和书家的角度对李日华的书法史观进行梳理,窥探出这位明代高级士人眼里的书法重点脉络和他的书法正统演变。李日华的儒学思想是其根基,这也对其书学要求产生了深远的影响。李日华在儒学背景下,就对书学提出了许多的形而上要求,一为学书的性灵论,二为学书的胸次论,其在此基础上对书法的学习提出了卓然的见解。 我们不仅可以从李日华这样一个交游广泛、具有多重身份的明末士人的书学观点中还原出明末士人的大致书学态度、书学观点成因。还可以在李日华的一些个性书学思想中重新对李日华的书学做价值评估,为明末书学思想的研究多提供一个视角、一个个案。
목차
Ⅰ. 绪 论
Ⅱ. 李日华生平与著作
Ⅲ. 李日华的“书法史”视角
Ⅳ. 李日华学书思想下的书学要求
Ⅴ. 结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암 이삼만과 영남서예의 상관성 연구
- 从林散之草书的“日常书写”看其书学的“自然观
- 퇴계 「陶山十二曲」에 대한 서예미학적 고찰 - 한글서예를 중심으로
- 신재(信齋) 이영익(李令翊) 전각(篆刻) 연구
- 명대 기녀 서화가의 서화 - 문인화 전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清代碑学在朝鲜王朝的传播研究
- 李日华的书法史观和书学要求
- 『효경언해』의 한글 서체 연구
- 서예치료가 우울감을 느끼는 성인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조 御筆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 수원화성의 현판 書를 중심으로
- 이인상 산수화의 실경(實境)미학 연구 - 심미 의식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혜환 이용휴의 심학적 회화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