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이용수 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Future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Dance Education Mediator-centered Discussion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탁지현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22호, 49~6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faced the reality that the budget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gradually shrinking, identified the actual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chools and educational mediators who are experiencing real damage and confusion in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several issues for revitalizing school dance education, focusing on dance education mediators among the various problems revealed. Based on the 2nd Comprehensive Pla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ance education in schools consists of integrated subjects or part of expression activities within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has not been implemented as a formal art subject.
Dance education mediators who implement this also have problems such as ambiguous positions and roles of external instructors with expertise, non-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do not major in dance, and difficulties in educational progress. To establish and revitalize dance education mediators with these problems, first, re-securing the budget to revital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cond,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ators and creating an integrated network, third, implementing the mandatory placement of culture and arts teachers, forming mediators for first-class qualifications, and fourth, creating and realizing demands for high school career and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were derived as suggest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
Ⅲ. 학교 무용 교육의 위치 및 매개인력 구조
Ⅳ. 무용 교육 매개인력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