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조 御筆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 수원화성의 현판 書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Not Going Back Unless Getting Drunk(不醉無歸) of King Jeongjo’s Calligraphy) : Focusing on the Calligraphy on the Signboard of Suwon Hwaseong Fortress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이필숙(Pil-suk Lee)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6호, 35~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조는 조선조 제22대 임금이자, 詩ㆍ書ㆍ畵에 두루 능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화가이다. 그는 문체반정 즉, 서체반정으로 국정의 대업을 이루었지만, 서화를 不醉無歸的 心畫의 차원에서 인식함으로써 자신만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서풍을 심화시켜 나갔다. 바꾸어 말하면, 세상과 소통하고 자신의 생각과 뜻을 전하고자 눈으로 읽고 마음으로 터득한 주체적 자각을 통해 전통 서예를 새롭게 이해하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서풍을 이루었다. 정조 어필서인 화성행궁 내 현판 書의 기저를 이루는 미의식은 ‘왕도정치 실현적 志趣와 특별권력 수단적 風格, 그리고 사표ㆍ경계 현시적 意趣’로 요약 가능하며, 이는 정조 어필 현판 書 창작 세계의 근원이 되고 있다. 따라서 화성행궁 내 어필의 현판 書에는 內聖外王的 왕도정치 실현을 위한 미의식이 응축되어, 인간의 본질적인 仁心의 요구에 부합하는 德政의 도덕적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법 적용 이전에 특별권력적 수단으로서의 심미風格을 포상이라는 정치적 탕평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사표⸱경계적 표상으로서의 심미의취 또한 孝誠을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다. 결국 화성행궁 내 정조 어필 현판 書의 독자적인 심미의식은 不醉無歸的 民意와 生意를 존중하는 예술적 추구이자 지향이요, 유가의 仁政이라는 時中精神의 中和미학적 발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위상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Jeongjo was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a representative artist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 was skilled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lthough he accomplished the great work of national administration by reforming the writing style, he deepened his individual and original writing style by recognizing calligraphy and painting as a picture of the mind with the attitude of not going back unless getting drunk. In other word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convey his thoughts and meaning, he gained a new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alligraphy through subjective self-awareness by reading with his eyes and learning with his heart. Thus, he eventually created his unique calligraphy styl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contained in King Jeongjo’s handwriting on the signboards within Hwaseong Haenggung Palace can be summarized as a willingness to realize the benevolent royal government, a style of taking advantage of authority, and an intention to paragon, caution, and indication. It has become the source of the world of creating King Jeongjo’s handwriting on signboards. Accordingly, the King’s handwriting on the signboards within the Hwaseong Haenggung Palace condense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o realize a benevolent royal government by being sage inside and kingly outside. It also contains the moral content of a virtuous government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essential benevolent mind of humans.
In addition, before legal application, aesthetic style as a means of authority is shown as political fairness through rewards. This aesthetic intention as a symbol of paragon or caution is also clearly revealed through filial piety and sincerity. Consequently, King Jeongjo’s unique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his handwriting on the signboards within Hwaseong Haenggung Palace can be highly evaluated in that it is an artistic pursuit and aims to respect the public mind and life intention of not going back unless getting drunk, and is rooted in Confucian benevolent government, the equilibrium-harmony aesthetic expression of the timely mean.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정조 御筆 현판 書의 형성 배경과 심미관
Ⅲ. 정조 御筆 현판 書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Ⅳ.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암 이삼만과 영남서예의 상관성 연구
- 从林散之草书的“日常书写”看其书学的“自然观
- 퇴계 「陶山十二曲」에 대한 서예미학적 고찰 - 한글서예를 중심으로
- 신재(信齋) 이영익(李令翊) 전각(篆刻) 연구
- 명대 기녀 서화가의 서화 - 문인화 전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清代碑学在朝鲜王朝的传播研究
- 李日华的书法史观和书学要求
- 『효경언해』의 한글 서체 연구
- 서예치료가 우울감을 느끼는 성인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조 御筆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 수원화성의 현판 書를 중심으로
- 이인상 산수화의 실경(實境)미학 연구 - 심미 의식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혜환 이용휴의 심학적 회화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