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대 기녀 서화가의 서화 - 문인화 전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Ming Dynasty Courtesan Artists: A Study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Literati Painting Tradition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서희연(Heui-yeon Sur)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6호, 229~26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명대(明代) 기녀 서화가인 마상란(馬湘蘭, 1548~1604), 유여시(柳如是, 1618~1664), 설소소(薛素素, 생몰 연대 미상)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들이 문인화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변형했는지 분석하였다. 기존 문인화 연구가 남성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한계를 극복하고자, 기녀 서화가들의 서예와 회화 작품을 통해 여성 예술가들이 문인화 전통 속에서 자신의 미학적 특징과 독창적 예술세계를 구축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마상란은 난죽(蘭竹) 소재를 활용하여 여성적 감성을 표현하였고, 유여시는 서예와 회화를 결합해 강인한 기개와 내면적 신념을 담아냈으며, 설소소는 전통적인 소재와 기법을 여성의 미묘한 감정으로 재해석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적 정취를 창출하였다. 이들의 작품은 단순히 문인화 전통의 답습이 아니라, 자신들의 정체성과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열었으며, 명대 예술사에서 여성 예술가의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본 연구는 명대 여성 서화가들이 남성 중심의 예술 환경에서 어떻게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형성했는지를 밝힘으로써, 기존 문인화 연구의 시각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이를 통해 명대 기녀 예술가들이 당대 문화적 교류와 사회적 변화 속에서 능동적인 예술적 주체로서 활동했음을 확인하고, 그들의 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를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works of three female painters from the Ming Dynasty (明代) — Ma Xianglan (馬湘蘭, 1548-1604), Liu Rushi (柳如是, 1618-1664), and Xue Suso (薛素素, dates unknown) — focusing on how they inherited and transformed the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 (文人画).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on literati painting, which has been male-centered, this study examines how female artists within the courtesan community built their own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unique artistic worlds within the context of the literati painting tradition through their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The study reveals that Ma Xianglan used the motifs of orchids and bamboo (蘭竹) to express feminine sensibilities; Liu Rushi combined calligraphy and painting to convey a strong spirit and inner beliefs; and Xue Suso reinterpreted traditional motifs and techniques with delicate emotions, creating her own distinctive artistic atmosphere. Their works were not simply a continuation of the literati painting tradition, but opened new aesthetic possibilities based on their identities and life experiences, contributing to the redefinition of the status and role of female artists in Ming Dynasty art histor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perspective of existing studies on literati painting by revealing how female artists in the Ming Dynasty established independent artistic worlds within a male-dominated artistic environment. Through this, the paper aims to confirm that Ming Dynasty courtesan artists were active artistic subjects in the cultural exchanges and social changes of their tim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assess their artistic valu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本论文以明代(明代)妓女书画家马湘兰(1548-1604)、柳如是(1618-1664)、薛素素(生卒年不详)的作品为中心,分析了她们如何继承和变革文人画传统。为了克服现有文人画研究以男性为中心的局限,本研究通过分析妓女书画家的书法和绘画作品,考察了女性艺术家在文人画传统中如何建立自己的审美特色和独创的艺术世界。 研究结果表明,马湘兰通过兰竹题材表达了女性的情感;柳如是结合书法和绘画,表达了她坚韧的气节和内心信念;薛素素则通过女性细腻的情感重新诠释传统题材和技法,创造了自己独特的艺术气质。她们的作品不仅仅是文人画传统的承袭,更是在自身身份和生活经历的基础上,开创了新的审美可能性,推动了明代艺术史中女性艺术家的地位和作用的重新定义。 本研究通过揭示明代女性书画家如何在以男性为主导的艺术环境中形成独立的艺术世界,将为扩展现有文人画研究视角做出贡献。通过此研究,确认明代妓女艺术家在当时的文化交流和社会变革中作为主动艺术主体的角色,并为重新评价她们的艺术价值和历史意义提供了契机。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명대 기녀 서화가의 문인화적 전통
Ⅲ. 마상란과 유여시의 문인화적 특징 분석
Ⅳ. 설소소의 전통 계승과 변형
Ⅴ.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암 이삼만과 영남서예의 상관성 연구
- 从林散之草书的“日常书写”看其书学的“自然观
- 퇴계 「陶山十二曲」에 대한 서예미학적 고찰 - 한글서예를 중심으로
- 신재(信齋) 이영익(李令翊) 전각(篆刻) 연구
- 명대 기녀 서화가의 서화 - 문인화 전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清代碑学在朝鲜王朝的传播研究
- 李日华的书法史观和书学要求
- 『효경언해』의 한글 서체 연구
- 서예치료가 우울감을 느끼는 성인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조 御筆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 수원화성의 현판 書를 중심으로
- 이인상 산수화의 실경(實境)미학 연구 - 심미 의식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혜환 이용휴의 심학적 회화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