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예치료가 우울감을 느끼는 성인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The Effect of Calligraphy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dults Experiencing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홍나래(Na-rae Hong) 황윤경(Yun-kyung Hwang)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6호, 175~2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CBT)를 기반으로 한 서예치료가 성인의 우울감 및 우울감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전 선별검사(BDI)에서 10-23점을 받은 성인 29명을 대상으로, 서예치료를 시행한 실험군(15명)과 서예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14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16회기의 서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BDI, 자기결정력 척도(BPNS), 주의집중력(SNSB-Ⅱ), 사회성(K-SAD) 등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데이터는 SPSS 21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예치료는 성인의 우울감 완화에 효과적이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사후 우울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서예치료는 자기결정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단 간 차이와 측정 시기에 따른 변화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셋째, 서예치료는 주의집중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DST(Forward)에서 두 집단 간 점수 차이 및 시기별 변화가 유의미했으며, DST(Backward)와 RCFT(Delayed Recall)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예치료가 성인의 우울감 감소 및 행동 특성 개선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서예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예술치료 분야에서 서예치료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calligraphy therapy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on depress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adults. A total of 29 adults with mild to moderate depressive symptoms (BDI score: 10–23) were selected through a pre-screening test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 = 15), which participated in a 16-session calligraphy therapy program, or the control group (n = 14), which received no interven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ssessed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BPNS) for self-determination, the SNSB-II for attention, and the Korean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K-SAD) for socialit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 an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alligraphy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in ad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ost-treatment depression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Second, calligraph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elf-determin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and across measurement time point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Third, calligraphy therapy contributed to improving atten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ST (Forward) scores between groups and across time points, and notable improvements were also observed in DST (Backward) and RCFT (Delayed Recall), indicating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calligraphy therapy is effective in alleviating depression and improv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ad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calligraphy therapy could serve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rapeutic programs.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calligraphy therapy as a novel approach to promoting mental health within the field of art therapy.
本研究旨在验证基于认知行为治疗(CBT)的书法治疗对成人抑郁及其行为特征的影响。通过预筛选测试,选取了 29 名轻度至中度抑郁症状(BDI 评分:10–23)的成人,并随机分配至实验组(n = 15)和对照组(n = 14)。实验组参与了 16 次书法治疗课程,而对照组未接受任何干预。研究采用贝克抑郁量表(BDI)评估抑郁程度,基本心理需求量表(BPNS)测量自主决策能力,SNSB-II 测试注意力,韩国社交回避及困扰量表(K-SAD)评估社交能力。数据分析使用 SPSS 21 进行处理,主要研究结果如下: 首先,书法治疗对降低成人抑郁水平具有显著效果。与对照组相比,实验组在治疗后抑郁评分显著下降,且组别与时间的交互作用呈现统计学上的显著性。 其次,书法治疗对提升自主决策能力产生了积极影响。组间差异以及测量时间点的变化均达到统计学显著水平,并显示出显著的交互作用效应。 第三,书法治疗有助于提高注意力。DST(顺向数字广度)测试结果显示,实验组与对照组之间的分数差异及测量时间点的变化均具有统计学显著性。此外,在 DST(逆向数字广度)和 RCFT(延迟回忆)测试中,也观察到了显著的改善趋势。 本研究提供了实证证据,证明书法治疗在缓解抑郁和改善成人行为特征方面具有积极作用。研究结果表明,书法治疗可作为未来治疗性干预项目开发和推广的基础依据。此外,本研究强调了书法治疗在艺术治疗领域促进心理健康的潜力,并提出其作为新型干预方法的可行性。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암 이삼만과 영남서예의 상관성 연구
- 从林散之草书的“日常书写”看其书学的“自然观
- 퇴계 「陶山十二曲」에 대한 서예미학적 고찰 - 한글서예를 중심으로
- 신재(信齋) 이영익(李令翊) 전각(篆刻) 연구
- 명대 기녀 서화가의 서화 - 문인화 전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清代碑学在朝鲜王朝的传播研究
- 李日华的书法史观和书学要求
- 『효경언해』의 한글 서체 연구
- 서예치료가 우울감을 느끼는 성인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조 御筆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 수원화성의 현판 書를 중심으로
- 이인상 산수화의 실경(實境)미학 연구 - 심미 의식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혜환 이용휴의 심학적 회화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