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인상 산수화의 실경(實境)미학 연구 - 심미 의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Aesthetic Realism in Yi In-sang's Landscape Paintings: Focusing on His Aesthetic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조동원(Dong-won Cho)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6호, 203~2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 후기의 대표적 문인화가 중 한명인 능호관 이인상(凌壺觀 李麟祥, 1710-1760)은 노론 청류의 이념을 지닌 문인이자 서화가로서, 서예와 회화, 인장 예술에 걸쳐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였다. 산수를 애호한 이인상의 실경산수화는 노론 청류의 정치적 이념과 삶의 희노애락이 반영된 심화(心畫)이다. 즐거움과 품격으로 산수를 보는 이인상은 조선의 명승을 유람하며 느낀 감흥을 기행(紀行)산수화로 형상화하였으며, 문자향(文字香)과 서권기(書卷氣)를 지닌 이인상은 벗들과 문예를 논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청유(淸遊)와 시회(詩會)를 즐기는 모습을 아회(雅會)산수화로 표현했다. 그리고 은거를 추구하던 선비 화가인 이인상의 심미 의식은 은일산수화로 구현되었다.
심회(心懷)를 담은 이인상의 실경산수화는 형식의 다양성과 내용의 풍부함을 갖추며, 조선 후기 회화의 예술적 가치를 확장하고 사상적 깊이를 더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어, 그의 실경산수화에 대한 심층적 탐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인상의 실경산수화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승경낙도(勝景樂道)의 이상을 반영한 기행 산수화, 둘째, 이념을 공유하는 벗들과 문예를 나누던 장면을 담은 아회산수화, 셋째, 속세를 떠나 자연에서 신념을 지키고자 한 은일산수화이다. 이러한 유형별 분석을 통해, 이인상의 실경산수화가 조선 후기 회화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그의 심미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ti pain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Nongho-gwan Yi In-sang Yi In-sang was both a philosopher and an artist who adhered to the ideology of the Noron Cheongryu faction. Viewing landscapes with a sense of joy and refinement, Yi In-sang transformed his travels across Joseon into “travel-inspired landscapes,” capturing the emotions and impressions of his journeys. he engaged in artistic and literary discussions with his peers, portraying moments of refined gatherings in “elegant assembly landscapes” Furthermore, as a literati painter who sought seclusion, his aesthetic consciousness was embodied in “reclusive landscapes,” illustrating his yearning for withdrawal from worldly affairs.
Yi In-sang’s true-view landscapes, infused with personal sentiment, exhibit a remarkable diversity in form and depth of content,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artistic value and philosophical meaning in late Joseon painting.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his work remains limited, necessitating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hi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This study categorizes Yi In-sang’s landscapes into three distinct types: first, travel-inspired landscapes reflecting the ideal of enjoying nature’s beauty; second, elegant assembly landscapes capturing literary and artistic exchanges among scholars; and third, reclusive landscapes expressing his pursuit of transcendence from worldly life through immersion in nature.Throug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his paintings,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his artistic and philosophical achievements, shedding new light on his role in shaping the development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이인상의 산수 미학
Ⅲ. 이인상의 실경산수화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암 이삼만과 영남서예의 상관성 연구
- 从林散之草书的“日常书写”看其书学的“自然观
- 퇴계 「陶山十二曲」에 대한 서예미학적 고찰 - 한글서예를 중심으로
- 신재(信齋) 이영익(李令翊) 전각(篆刻) 연구
- 명대 기녀 서화가의 서화 - 문인화 전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清代碑学在朝鲜王朝的传播研究
- 李日华的书法史观和书学要求
- 『효경언해』의 한글 서체 연구
- 서예치료가 우울감을 느끼는 성인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조 御筆의 不醉無歸的 심미의식 - 수원화성의 현판 書를 중심으로
- 이인상 산수화의 실경(實境)미학 연구 - 심미 의식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 혜환 이용휴의 심학적 회화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