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 인식 변화(1908~1910)
이용수 40
- 영문명
- Change in Recognition of the Righteous Army in Primorye Korean society(1908~1910) : With a focus on the Haejo sinmun and Daedong gongbo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김채운(Cha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117~15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국외 독립운동 중심지였던 러시아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인식 변화 양상을 당시 발행되었던 ≪해조신문≫과 ≪대동공보≫ 기사로써 규명하고자 했다.
1908년 초 연해주 내 의병이 유입된 시기부터 국내진공작전 이전까지 한인사회 내 인식에 대해 ≪해조신문≫을 통해 분석했다. ≪해조신문≫은 1908년 2월부터 5월까지 총 225건의 의병 기사를 보도했는데, 내용적으로는 의병의 규모와일본군의 피해를 과장하고, 의병의 피해와 일본군의 규모는 축소하는 특징을보였다.
국내진공작전 실패 이후 의병 인식 변화 양상에 대해서는 ≪대동공보≫를통해 파악했다. ≪대동공보≫는 1910년 1월 정간 이전까지 총 89건의 의병 기사를 보도했는데 수치적으로 ≪해조신문≫에 비해 보도 빈도와 비중이 줄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의병의 피해, 군자금 집류에 관한 내용을 보도하는 등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1910년 이후 연해주 한인사회 내 상황에 대해서는 ≪대동공보≫ 재간행 이후기사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1910년 4월부터 9월까지 의병 기사 총 55건을 분석해 의병을 국권 회복을 위한 포용과 통합의 대상으로 인식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righteous army in the Korean community in the Russia, through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The time of the influx of righteous army in Primorye in early 1908,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community was analyzed through Haejo sinmun . Haejo sinmun reported a total of 225 articles of righteous army from February to May 1908.
After the failure of the domestic vacuum operation,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righteous army was identified through Daedong gongbo. Before January 1910, Daedong gongbo reported a total of 89 articles of righteous army.
The situation in the Korean community since 1910 was examined through articles after the re-publication of Daedong gongbo. From April to September 1910, a total of 55 articles of righteous army were analyzed.
목차
1. 머리말
2. 의병의 연해주 유입과 ≪해조신문≫ 의병 보도
3. ≪대동공보≫의 의병 보도와 의병 인식 변화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의 한국근대사 공부 - 게으른 퇴직 연구자의 흰소리
- 한국학의 형성을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살펴보기 - 육영수, 『근대 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돌베개, 2024
- ‘식민지지주제’에 관한 진지한 물음과 체계적 답변 - 최은진, 『종속과 차별: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지주제 비교사』, 역사비평사, 2023.
- 1930년대 전남 영암군의 영보정 사건과 지역사회
- 한국 농학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 -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들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美領 의원의 선출과 특성
-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 1906~1910년간 강원지역 의병판결과 일제의 재판개입
- 1910년대 ≪조선신문≫ 鮮文部와 錦堂 金亨復의 언론·출판 활동
- 제헌국회 시기 사회당의 결성과 성격
- 중국 국민정부의 중경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연구
- 1905년 이후 노원지역 의병운동의 전개와 성격
-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 인식 변화(1908~1910)
-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 일본군의 3·1운동기 死傷 실태와 ‘褒賞’ 기록의 의미
-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에 관한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