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농학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 -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들
이용수 45
- 영문명
- Growth as a Leader in Korean Agriculture : Koreans at Kyushu Imperial University’s Faculty of Agriculture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선유정(Yoo-jeong S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209~2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규슈제국대학 농학부는 창립 당시부터 조선과 다양하게 관련을 맺고 있었다. 첫째, 농학부의 초대 학부장으로 혼다 코스케가 임명되었다. 그는 13년간 조선에 머물며 조선총독부 권업모범장 장장과 수원농림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면서 조선 농학의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었다. 둘째, 농학부 첫 입학자 7명 중 1명이 조선인 조백현이었다. 그는 졸업 후 조선 최고의 농학교육 기관이었던 수원고등농림학교의 최초 조선인 교수가 되면서, 대학 진학을 원하는 조선인들의모델이 되어 주었다. 셋째, 설립 초기부터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방계 선발을 완화한 덕분에 조선의 전문학교 학생들도 농학부에 진학 할 수있었다. 넷째, 해방 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초기 교수진으로 규슈제국대학 농학부 졸업생들이 다른 제국대학 졸업생보다 많이 합류해 한국 농학계를 이끈학자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을 연구하는 것은 일제강점기 엘리트 농학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해방 후 한국 농학의 성장을 이해할 첫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aculty of Agriculture of Kyushu Imperial University has been involved with Korea in various ways since its establishment. First, Honda Kōsuke was appointed as the first dean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He had served in Joseon for 13 years. He was an authority on Korean agriculture, having served as head of th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and principal of Suwon High School of Agriculture. Second, Cho Baik Hyun was one of the first seven student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After graduation, he became the first Korean professor at Suwon High School of Agriculture, Korea’s premier agri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 and served as a model for Koreans who wanted to go to college. Third, to address the shortage of students shortly after the school opened, the school collateral selection criteria were relaxed. This allowed students from vocational schools in Korea to enter the agricultural department. Fourth, the first facult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fter liberation admitted more graduates of Kyushu Imperial University than any other imperial institution. Many of them became pioneers of Korean agriculture. Thus, the study of the Koreans at Kyushu Imperial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can be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agriculture.
목차
1. 왜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인가?
2.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설립
3. 농학부에 전문학교 출신의 조선인의 진학
4.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 현황과 활동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의 한국근대사 공부 - 게으른 퇴직 연구자의 흰소리
- 한국학의 형성을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살펴보기 - 육영수, 『근대 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돌베개, 2024
- ‘식민지지주제’에 관한 진지한 물음과 체계적 답변 - 최은진, 『종속과 차별: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지주제 비교사』, 역사비평사, 2023.
- 1930년대 전남 영암군의 영보정 사건과 지역사회
- 한국 농학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 -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들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美領 의원의 선출과 특성
-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 1906~1910년간 강원지역 의병판결과 일제의 재판개입
- 1910년대 ≪조선신문≫ 鮮文部와 錦堂 金亨復의 언론·출판 활동
- 제헌국회 시기 사회당의 결성과 성격
- 중국 국민정부의 중경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연구
- 1905년 이후 노원지역 의병운동의 전개와 성격
-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 인식 변화(1908~1910)
-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 일본군의 3·1운동기 死傷 실태와 ‘褒賞’ 기록의 의미
-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에 관한 검토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