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이용수  25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hought of Buddhism and Enlightenment in the Early Enlightenment Group : The Buddhist Influence of Chusa on Oh Kyung-seok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석보원(Bo-won SEOK)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9~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추사의 불교사상이 오경석의 개화사상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밝히는 데 있다. 개화파의 여러 인사가 독실한 불교신자였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들이 어떠한 이유로 불교를 신앙했는지에 대해서는밝혀진 바 없다. 이들 중에서도 일찍이 개화사상을 형성하고 개화파의 대부라고불렸던 인물이 있는데, 바로 오경석(吳慶錫, 1831~ 1879)이다. 그 역시 깊은불심으로도 유명했는데, 여기에는 추사의 불교사상의 영향이 상당했다. 먼저그는 유년 시절 추사의 불교적 성향을 이어받은 이상적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그리고 추사와는 직접적으로 학문적 교류를 했으며, 편지로 사적인 대화를 주고받을 정도로 친분이 깊기도 했다. 기성 연구는 추사의 불교사상이 오경석에게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오경석에 관한 사료 부족 등의 문제로 깊이 있는 연구로서 진전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들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기성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추사와 오경석의 관계를 새롭게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화파의 불교신앙에 대해서도 조금이나마 실마리를 잡을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reveal how Chusa’s practical Buddhist though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Oh Gyeong-seok’s enlightenment thought. It is widely known that several members of the enlightenment faction were devout Buddhists. However, it has not been revealed for what reason they believed in Buddhism. Among them, there is a person who formed the thought of enlightenment early on and was called the godfather of the enlightenment faction, and he is Oh Gyeong-seok(1831~1879). He was also famous for his deep Buddhist faith, which was greatly influenced by Chusa’s Buddhist thought. First, he studied under Lee Sang-jeok, who inherited Chusa’s Buddhist tendencies as a child. In addition, he had direct academic exchanges with Chusa and was close enough to have private conversations through letter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Chusa’s Buddhist thought influenced Oh Kyung-seok, but it did not progress to in-depth research due to problems such as a lack of historical records on Oh Kyung-seo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usa and Oh Gyeong-seok by breaking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established studies by analyzing their correlation. An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catch a clue about the reason for the Buddhist faith of the Enlightenment faction.

목차

1. 여는 말
2. 『완당집』에 나타난 추사의 불교사상
3. 오경석의 개화사상 특징
4.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영향
5.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보원(Bo-won SEOK). (2024).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한국근현대사연구, (), 9-32

MLA

석보원(Bo-won SEOK).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한국근현대사연구, (2024): 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