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기 토기 편년 재고

이용수  0

영문명
Reexamination on the Chronology of Late Neolithic Pottery in the Southern Region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송현경(Hyunkyung So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103호,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진주 평거동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중심으로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의 편년을 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부지역 후기 토기를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평거동유적의 후기 토기는 문양과 기형으로 보아 세 개의토기군으로 구분되며 각 토기군의 상대순서는 탄소14연대 측정 결과와 정합성을 보인다. 이러한 평거동유적의 후기 토기 검토 결과를 낙동강 이서와 이동 지역의 주요 유적들과 비교하여 병행관계를 설정하였다. 낙동강 이서지역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며, 1단계는 중기 요소가 잔존하는 시기로 능형집선문과 직립구연이 주를 이루고, 2단계는 자돌·압인계 문양과 구연 축약 외반구연이 증가하며 후기의 특징이 완성되며, 3 단계는 문양의 정형성이 약화되고 외반도가 감소하는 시기이다. 이동지역은 유적 수와 출토 토기 수가 적어2단계로 구분되며, 후기 전반에는 집선문계 문양이 일부 잔존하고 후반에는 거치문과 장사선문이 등장하며무문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후기유적의 탄소14연대 측정치로 보아 후기 상한은 기원전 3000년까지 소급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후기 이중구연토기는 기존에 후기 후엽에 발생한 것으로 보았으나, 본고에서 검토한 결과 후기 1단계부터 다양한 문양과 함께 출토되고 있으며, 후기 토기의 문양과 시문 방법을 공유하며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후기 이중구연토기의 발생 시점은 후기 후엽이 아니라 후기 상한기와 동시기로 수정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examines the chronology of Late Neolithic pottery based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Jinju Pyeonggeodong site and, on that basis, proposes a three-phase chronological framework for Late Neolithic pottery across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Late Neolithic pottery from the Pyeonggeodong site is classified into three pottery groups according to decorative patterns and vessel forms, and the relative sequence of these groups is consistent with radiocarbon dating (C-14) results. Thes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major sites located west and east of the Nakdong River to establish parallel relationships. In the western Nakdong River region, pottery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based on changes in decoration and rim shape: Phase 1 retains elements of the Middle Neolithic, such as rhomboid incised patterns and upright rims; Phase 2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impressed and stamped patterns and the emergence of outwardly contracted rims, marking the full development of Late Neolithic traits; and Phase 3 shows a decline in the standardization of decorative motifs and a reduction in rim curvature. The eastern Nakdong River region is divided into two phases due to the smaller number of sites and artifacts: in the earlier phase, some incised patterns remain, while in the later phase, combed and long incised lines appear and undecorated pottery becomes more common. Radiocarbon dating results from Late Neolithic sites suggest that the beginning of the Late Neolithic period can be pushed back to around 3000 BCE. Double-rimmed pottery, previously thought to have emerged in the final phase of the Late Neolithic, is shown to share decorative patterns and techniques with contemporary pottery and to evolve alongside it. Therefore, the emergence of double-rimmed pottery should be reinterpreted as having appeared in the earliest phase of the Late Neolithic,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its final stage.

목차

Ⅰ. 머리말
Ⅱ. 진주 평거동유적 출토 후기 토기 검토
Ⅲ.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기 유적 병행관계 및 단계 설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현경(Hyunkyung Song). (2025).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기 토기 편년 재고. 영남고고학, (), 5-35

MLA

송현경(Hyunkyung Song).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기 토기 편년 재고." 영남고고학, (2025):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