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sit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Geomdan-ri Culture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저자명
- 강동석(Dongseok Kang) 박수빈(Subin Park)
- 간행물 정보
- 『영남고고학』제103호, 37~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남지방 청동기시대 중기 문화를 대표하는 검단리유형의 분포패턴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검단리유형은동남해안지역이라는 공간 단위에서 검단리식토기와 울산식주거지를 표지로 하는 단일한 분포권을 형성하고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것은 검단리유형이 특정 지리 공간에서 균질하게 전개된 것으로 일반화하고, 유형을 구성하는 유물복합체의 다변적 양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유형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검단리유형의 분포패턴을 재검토하였다.
광역적 차원에서 검단리유형은 중심과 주변이 뚜렷한 하나의 중핵적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지역적 수준에서 살펴보면, 유형을 구성하는 유물복합체에서 지역을 달리하며 특정 유구나 유물이 반복적으로나타나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개별적 출현 현상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다변적 양상은 국지적 공간스케일에서 이루어진 유물복합체의 교차·분산 패턴을 대변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GIS의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울산식주거지에서 공반한 유물과 분묘의 분포밀도를 추정하고, 이것을 중첩하여 유물복합체의 조합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울산 매곡동과 다운동, 산하동, 경주 천군동 일원에서 특정 유물복합체 구성요소들의 출현 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지역은 검단리유형을 구성하는 유물복합체가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클라크가 정의한 하위문화 권역으로 볼 수 있다. 즉, 이것은 검단리유형이 하나의 단일 분포권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울산식주거지를 공통 구성요소로 하는 네 개의 하위문화 권역이 다변적 양상으로 존재하는 차별적 분포패턴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Geomdan-ri culture, representative of the Middle Bronze Age culture in the Yeongnam region, was examined. Previously, the Geomdan-ri culture was perceived as forming a monothetic distribution zone within the southeastern coastal region, characterized by Geomdan-ri type pottery and Ulsan-type dwellings. This perspective generalized the Geomdan-ri culture as a homogeneous development within a specific geographic space, failing to capture the polythetic aspects of its assemblages. To address this issue, the concept of the culture was redefined, and its distribution pattern was re-evaluated from a multiscalar perspective.
At a global level, the Geomdan-ri culture exhibited a core-periphery structure with distinct central and peripheral areas. However, at a regional level, the assemblages showed variability, with certain features or artifacts appearing repeatedly in specific space, while others appeared sporadically. This diversity reflects the intersection and dispersal patterns of assemblages at a localized spatial scale. To investigate this in detail,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in GIS were employ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density of artifacts and burials associated with Ulsan-style dwellings. By sum these, the combination relationship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ssemblag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a high frequency of specific assemblage components in areas such as Maegok-dong, Dawun-dong, and Sanha-dong in Ulsan, as well as Cheongun-dong in Gyeongju. These areas can be considered subcultural zones, as defined by Clark, due to the continuous and repeated appearance of the assemblages constituting the Geomdan-ri culture. This indicates that the Geomdan-ri culture does not form a single, uniform distribution zone but rather consists of four subcultural zones with Ulsan-style dwellings as a common component, exhibiting a polythetic distribution pattern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목차
Ⅰ. 머리말
Ⅱ. 유형의 개념과 분포 이론
Ⅲ. 검단리유형 분포의 다중스케일적 검토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