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이용수  48

영문명
The dispatch of the front unit of Korean Volunteers Army and the alterations to the operational zone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박동환(Dong-hwa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311~3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39년 11월 조선민족혁명당 직계의 조선의용대 제1구대는 제1지대 북진분대와 제3지대로 확대 개편되어 ‘華北敵後’와 ‘華中’ 두 전장에 파견되었다. 조선의용대의 대본부는 조선민족혁명당 신편 전방지대를 남·북 전장에 나누어 배치하고 서로 다른 임무를 부여함으로써 한국민족운동과제와 중국항전과제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러나 대본부의 이러한 공작구역 배치 구상은 현지 전황의 변동과 중국 군정당국의 조선의용대원 동원으로 인해 원래의 계획에서 크게 변경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족혁명당 계열의 신편 전방지대는 ‘華北’· ‘華中’·‘華南’ 등 세 구역으로 분산되었고, 한국민족운동과제로 설정된 한인포섭임무도 단기간 내에는 실현할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대본부는 그 이후에도 한국민족운동과제의 이행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각 전방단위지대의공작구역 조정을 시도했다. 그 결과 1940년 중반 이후 3개의 조선민족혁명당신편지대 가운데 2개 단위가 한인포섭 임무를 부여받고 후방으로 복귀했다. 이와 같은 조선민족혁명당 계열 신편지대의 공작구역 변동은 조선의용대 내부의활동 방향과 노선이 중국항전과제와의 병행, 균형 추구에서 한국민족운동과제강화로 기울어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징표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irst Squad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was expanded to two independent squad, which were respectively sent to 'Enemy occupied territory of “Huabei” and “Huazhong”. The headquarters of KVA aimed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tasks of Korean National Movements and the tasks of the Chinese National Revolution by distributing the newly established forward units across the southern and northern fronts and assigning them with different missions. However, this strategic deployment plan was altered due to fluctuations in the local battlefields situation and the mobilization plan by the Chinese authorities. As a result, the newly established forward units were dispersed into “Huabei”, “Huazhong” and “Huanan”. Nevertheless, the headquarters continued to make sustained efforts to implement the tasks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attempted to adjust the operational zones of each forward unit. This Change in the operational zones of the newly established units serves as a significant indicator of the internal shift in the activities and direction of Korean Volunteers Army.

목차

1. 머리말
2.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공작구역 획정
3.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공작구역 변동
4. 조선의용대 대본부의 전방지대 공작구역 재배치 시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동환(Dong-hwan PARK). (2024).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한국근현대사연구, (), 311-336

MLA

박동환(Dong-hwan PARK).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한국근현대사연구, (2024): 311-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