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헌국회 시기 사회당의 결성과 성격
이용수 48
- 영문명
- The formation and character of the Socialist Party during the Constitutional Assembly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손연하(Youn-ha SON)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373~41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당은 남한 단독정부 수립 이후 새로운 통일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시기에 창당되었다. 사회당의 정치적 목표는 삼균주의를 기본으로 한 통일된 자주독립국가의 건설이었다. 사회당은 사회 각 분야별 분과위원회를 통할하는 정치위원회를 설치하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들에 대하여 정당 정치를 통해 대응해 나갔다. 농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농지개혁법과 민주정치의 핵심인지방자치제 실시에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민족정기를 바로 잡기 위해 친일파처리를 주도해 나갔다. 통일정책에 대해서도 입장을 분명히 하며 대한민국 정부를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평화통일 방안을 제시했다.
사회당은 국회프락치 사건을 계기로 큰 정치적 타격을 받았다. 그리고 계속되는 이승만 정권의 반공 기조를 앞세운 정치적 탄압 속에서 당세가 약화되었다.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조소앙이 납북되어 구심점을 잃고 해체되었다. 사회당의 존속 기간은 불과 1년 7개월 정도로 길지 않았다. 삼균주의 이념을지향하면서 남한 사회의 모순을 시정해야 한다는 애족적 현실 투쟁, 남한 정부가 들어선 이상 이를 인정하고 그 속에서 현실적인 정당 정치를 추구한 정당이었다.
영문 초록
The Socialist Party was founded at a time when a new unification strategy had to be sou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political goal of the Socialist Party was to build a unified, independent state based on the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The Socialist Party established a political committee to oversee the subcommittees of each sector of society and responded to major issues facing society through party politics. It raised its voi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Land Reform Act for the stabilization of farmers’ livelihoods and the local autonomy system, which is the core of democratic politics. It also took the lead in dealing with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order to correct the national spirit. It also made its position on unification policy clear and presented a plan for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its 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ocialist Party suffered a major political blow due to the National Assembly Spy Incident. And its power weakened amid the continued political oppression of the Syngman Rhee regime, which emphasized its anti-communist stance.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Cho So-ang was kidnapped to the North, losing its center of gravity and disbanding. The Socialist Party’s existence was not long, lasting only 1 year and 7 months. It was a political party that pursued the ideology of Samgyunju and fought for the patriotism and reality that the contradictions in South Korean society had to be corrected, and that recogniz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s it was and pursued realistic party politics within it.
목차
1. 머리말
2. 단독정부 수립과 사회당 결성
3. 사회당의 이념과 조직
4. 사회당의 활동과 해체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의 한국근대사 공부 - 게으른 퇴직 연구자의 흰소리
- 한국학의 형성을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살펴보기 - 육영수, 『근대 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돌베개, 2024
- ‘식민지지주제’에 관한 진지한 물음과 체계적 답변 - 최은진, 『종속과 차별: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지주제 비교사』, 역사비평사, 2023.
- 1930년대 전남 영암군의 영보정 사건과 지역사회
- 한국 농학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 -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들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美領 의원의 선출과 특성
-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 1906~1910년간 강원지역 의병판결과 일제의 재판개입
- 1910년대 ≪조선신문≫ 鮮文部와 錦堂 金亨復의 언론·출판 활동
- 제헌국회 시기 사회당의 결성과 성격
- 중국 국민정부의 중경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연구
- 1905년 이후 노원지역 의병운동의 전개와 성격
-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 인식 변화(1908~1910)
-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 일본군의 3·1운동기 死傷 실태와 ‘褒賞’ 기록의 의미
-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에 관한 검토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