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국민정부의 중경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연구
이용수 4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public of China’s Policy on the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손염홍(Yan-hong SUN)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337~37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40년 5월 김구는 임정에 대한 승인을 요청했지만, 약 1년이 지난 1941년봄부터 이뤄진 조선의용대의 북상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바꿔임정 승인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1월 말경 한국 혁명세력의 통일을 전제로 한 승인 방침을 세웠다.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중국 정부는 임정 승인 문제를 처리할 때 참전국과주변국의 입장을 고려해야 했다.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의 라디오 연설 이후 미국이 곧 임정을 승인할 것이라는 여론이 형성되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임정을 정식 승인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장개석은 국제 환경을 고려하고 미국 측의 의견을 받아들여 임정 승인을 유보했다.
카이로 선언 이후 한인들이 중국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증폭되는 가운데, 임정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전후 독립한 한국에 친중 정권을 수립하기위해 중국은 임정을 사실상 승인했다.
중국과 미국이 독립운동 세력 간의 불통일을 임정에 대한 승인 유보의 이유로 내세웠다. 임정 승인 회피를 위한 핑계의 성격이 없지 않지만,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 문제는 한국 독립운동 진영이 극복해야 할 중대한 과제임은 사실이다. 임정은 항일 역량을 키우고 연합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아내기 위해 통합 정부수립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영문 초록
In May 1940, Kim Gu asked for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about a year later, after the Korean Volunteers Army moved north, the Chinese government changed its passive attitude and began to actively discuss the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around the end of November, an approval policy was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revolutionary force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e Chinese government had to take into account the positions of the combatant nations and neighboring countries when dealing with the issu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U.S. President Roosevelt's radio address, the Chinese government decided to formally approve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face of public opinion that the U.S. would soon approve it.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Jang Ga-seok accepted the opinion of the United States and delayed the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the Cairo Declaration, Koreans’ distrust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Chinese government increased. In this situation, the Chinese government virtually approv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establish a pro-China regime in Korea after the war.
China and the U.S. have cited unification betwee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as the reason for reserving the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it is true that the issue of integ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s a critical task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mp to overcome.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tinued its efforts to establish an integrated government to increase anti-Japanese capabilities and obtain the official approval.
목차
1. 머리말
2. 임정의 승인 요청과 중국 정부의 기본입장
3.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중국 정부의 임정 승인 결정 및 그 배경
4. 임정 승인을 둘러싼 중·미 교섭 및 임정 승인 유보
5. 중국 정부의 대한 정책 조정 및 임정에 대한 사실상 승인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의 한국근대사 공부 - 게으른 퇴직 연구자의 흰소리
- 한국학의 형성을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살펴보기 - 육영수, 『근대 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돌베개, 2024
- ‘식민지지주제’에 관한 진지한 물음과 체계적 답변 - 최은진, 『종속과 차별: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지주제 비교사』, 역사비평사, 2023.
- 1930년대 전남 영암군의 영보정 사건과 지역사회
- 한국 농학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 -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들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美領 의원의 선출과 특성
-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 1906~1910년간 강원지역 의병판결과 일제의 재판개입
- 1910년대 ≪조선신문≫ 鮮文部와 錦堂 金亨復의 언론·출판 활동
- 제헌국회 시기 사회당의 결성과 성격
- 중국 국민정부의 중경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연구
- 1905년 이후 노원지역 의병운동의 전개와 성격
-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 인식 변화(1908~1910)
-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 일본군의 3·1운동기 死傷 실태와 ‘褒賞’ 기록의 의미
-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에 관한 검토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