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에 관한 검토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koh Lee Dong-yeong Family and Their Activities During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이성우(Sung-w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1집, 33~6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 중 독립협회와 상동청년회 활동을 검토한 연구이다. 이동녕은 영해군수로 부임한 부친 이병옥을 따라 경북 영해에서 생활하면서 부친을 도왔고, 이후 이병옥이 평양으로 관직을 옮김에 따라 서북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이병옥과 함께 원산에서 교육사업을 전개했다 고 한다. 그러나 이병옥은 1891년 관직을 시작한 후 계속해서 중앙 정계에 있 었으며, 外職은 의성군수와 영해군수를 역임했다. 더욱이 이병옥은 영해군수를 역임한 후 세금 체납 문제로 투옥되었다. 따라서 이후에 관직 생활을 할 수 없었 고, 이동녕이 부친과 함께 평양과 서북 지역에서 활동했다고 볼 수는 없다.
이동녕의 민족운동 시작은 독립협회에 참여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그러나 이동녕은 독립협회에 참여했다고 볼 수 없다. 독립협회는 1896년 창립된 후 여러 차례 임원진을 개편했다. 그러나 이동녕이 임원으로 선출된 자 료나 주도 인물이었다는 기록은 없다. 『묵암비망록』과 『독립협회연역략』의 기록을 제외하면 광복 이전 이동녕이 독립협회에 참여했다는 기록을 찾을 수 없 는데, 두 자료는 사료의 문제로 이동녕의 독립협회 활동을 논증할 수 있는 자료로 볼 수 없다.
이동녕은 1900년대 초부터 부친을 대신해 투옥되었다. 이병옥은 세금 체납 문제로 1899년 10월 16일 투옥되었으나 이후 喪을 당하면서 보석으로 풀려났 고, 대신 장자인 이동녕이 투옥되었다. 이동녕은 투옥 중 한성감옥에 투옥되었 던 인물들과 교류하게 되었고, 한성감옥 서적실에 비치된 기독교 관련 도서를 탐독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따라서 감옥에서 풀려난 후 상동청년회에 참여했으며, 정순만 등과 을사오적 처단과 을사늑약 파기상소 운동 등을 전개했다.
영문 초록
This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e Dong-yeong family and their activities during the movement for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the Sangdong Youth Association. Lee Dong-yeong lived in Yeonghae while accompanying his father, Lee Byeong-ok, who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Yeonghae, and assisted him. Later, when Lee Byeong-ok transferred to Pyongyang for his official position, Lee Dong-yeong became active in the northwestern region, and together with his father, they carried out educational projects in Wonsan. However, based on Lee Byeong-ok’s official position in 1891, such activities appear to be impossible.
Lee Dong-yeong cannot be considered a participant in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There are no records of him being elected as an executive member or a leading figure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part from the “Mukam Bimangnok” and “Independence Association Chronicles,” which are problematic sources, no records confirm Lee Dong-yeong’s involvement in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prior to the liberation. Therefore, these two materials cannot be considered reliable evidence to support the claim of hi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Lee Dong-yeong was imprisoned in place of his father, Lee Byeong-ok. During his imprisonment, he interacted with individuals detained in Hanseong Prison and deepened hi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by reading Christian-related books available in the prison library.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he joined the Sangdong Youth Association and worked with figures such as Jeong Soon-man on movements like the execution of the Eulsa Five Traitors and petitions to annul the Eulsa Treaty.
목차
1. 머리말
2. 가문의 특성과 민족운동 참여 이전의 행적
3. 독립협회와 상동청년회 활동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의 한국근대사 공부 - 게으른 퇴직 연구자의 흰소리
- 한국학의 형성을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살펴보기 - 육영수, 『근대 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돌베개, 2024
- ‘식민지지주제’에 관한 진지한 물음과 체계적 답변 - 최은진, 『종속과 차별: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지주제 비교사』, 역사비평사, 2023.
- 1930년대 전남 영암군의 영보정 사건과 지역사회
- 한국 농학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 - 규슈제국대학 농학부의 조선인들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美領 의원의 선출과 특성
- 조선의용대 신편 전방지대의 중일전장 배치와 공작구역 변동
- 1906~1910년간 강원지역 의병판결과 일제의 재판개입
- 1910년대 ≪조선신문≫ 鮮文部와 錦堂 金亨復의 언론·출판 활동
- 제헌국회 시기 사회당의 결성과 성격
- 중국 국민정부의 중경 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연구
- 1905년 이후 노원지역 의병운동의 전개와 성격
- 연해주 한인사회 내 의병 인식 변화(1908~1910)
- 오경석에게 나타난 추사의 불교적 영향
- 일본군의 3·1운동기 死傷 실태와 ‘褒賞’ 기록의 의미
- 석오 이동녕 가문의 특성과 국권회복운동기 활동에 관한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