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수  37

영문명
Study on efficient linkage between ‘pre-class’ and ‘in-class’ in flipped learning-based writing lectures- Based on the results of learner needs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도희(Do Hee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269~29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능동적인 글쓰기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자 양성을 목표로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글쓰기 강의에서 플립러닝 학습의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 강의의 문제점을 분석, 보완하여 ‘pre-class’와 ‘in-class’를 재설계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였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다양한 의견 교류를 통해 사고를 확장하며 통찰해 나가는 글쓰기 역량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교육은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소통하는글쓰기 능력을 요구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글쓰기에 필요한 내용을 스스로 기획하고 개성적으로 구성하며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학습자의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강의를 재설계하고 교육 현장에 수정 적용한 본 논문은 플립러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현장 적용에의 문제를 보완하여 질적 수준을 높임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가치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oster learners who can play a role as active writers and sug gests an efficient linkage plan between ‘pre-class’ and ‘in-class’ in writing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To this e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had experience in flipped learning in writing classes, and the prob lems of writing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supplemented to redesign ‘pre-class’ and ‘in-class’ and operate them efficiently.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fosters writing ability that allows students to actively recognize problems, expand their thinking through various ex changes of opinions, and gain insight. Writing education based on flipped learning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plan, individually organize, and creatively express the content necessary for 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at requires writing ability based on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This paper, which redesigned the lecture based on an analysis of learners’ needs and modified and applied it to the educational field, aimed to practic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value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field application, which are pointed out as problems of flipped lear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leve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희(Do Hee Kim). (2024).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리터러시 연구, 15 (4), 269-297

MLA

김도희(Do Hee Kim).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리터러시 연구, 15.4(2024): 269-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