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이용수  37

영문명
Reconsideration of Rewriting and the Educational Plan for Re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현정(Hyeonjeong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237~2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글쓰기 과정에 있어서 다시 쓰기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다시 쓰기의 효용성과 교육 방안을 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Flower와 Hayes(1981)의 문제 해결 모델, Bereiter와 Scardamalia(1987)의지식 말하기와 지식 변형 모델, Galbraith(1999)의 지식 구성 모델을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의 개요 작성과 다시 쓰기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국내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는 Flower와 Hayes(1981)의 문제 해결 모델을 토대로 계획 단계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높다. 특히, 계획하기로서의 개요 작성을 글쓰기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룬다. 그러나 Bereiter와 Scardamalia(1987)의 지식 변형 모델, Galbraith(1999)의 지식 구성 모델을 살펴볼 때, 필자에 따라서는 개요 작성보다다시 쓰기를 통해 글을 수정해 가는 방식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모든 필자에게 일률적으로 개요 작성을 요구하기보다는 필자의 성향과 특성을 고려하여 다시 쓰기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제시했다. 아울러 글쓰기 과정의 회귀성 회복을 위한 측면에서 다시 쓰기에 대한재인식의 중요성과 글쓰기 실습 중심의 교육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rewriting in the writing proces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rewriting and educational plan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us, theoretical discussions on outline writing and rewriting in the writing process were analyzed using the problem-solving model of Flower and Hayes (1981), the knowledge-telling and knowledge-transforming model of Bereiter and Scardamalia (1987), and the knowledge-constituting model of Galbraith (1999). In the domestic writing education field, the tendency is to attach importance to the planning stage based on the problem-solving model of Flower and Hayes (1981). In particular, writing an outline for planning is important in the writing process. However, when examining the knowledge-telling and knowledge-transforming model of Bereiter and Scardamalia (1987) and the knowledge-constituting model of Galbraith (1999), depending on the author, revising the text through rewriting can be a more efficient method than writing an outline. Therefore, allowing writers to try to rewrite in consideration of their propensi ty and characteristics, rather than uniformly asking them to prepare an outline, is recommended. In addition, to restore the recursiveness of the writing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reconsideration of rewriting and the educational plan centered on writing practice is emphasized.

목차

1. 서론
2. 다시 쓰기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의 방향
4. 다시 쓰기의 적용을 위한 교과 운영 개선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Hyeonjeong Kim). (2024).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리터러시 연구, 15 (4), 237-268

MLA

김현정(Hyeonjeong Kim).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리터러시 연구, 15.4(2024): 237-2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