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이용수 139
- 영문명
- Reinterpreting Heosaengjeon Through the Publicness of Silhak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백지민(Jimin Bae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427~4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을 통해 실학적 공공성과 유교적 공공성의 차이를분석하며, 선비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도덕적 책무를 수행해야 하는 이유를 탐구하였다. 실학적 공공성은 사회적 약자의 보호와 불평등 해소, 실용적 지식의 활용을 강조하고, 사회의 실질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유교적 공공성이 도덕적 수양과 국가의 도덕적 정당성에 중점을 두고, 주로 지배층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과 달리, 실학적공공성은 민본주의와 경제적 평등을 중시하며, 모든 사회 구성원의 복지를 중요시하였다.
연암의 <허생전>에서 허생은 상업적 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을 사회적 약자를 구제하는 데 사용하며, 이는 실학적 공공성을 구현한 사례로 볼 수 있다. 허생의 행위는 경제적 성공을 통해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동시에, 도덕적 책무를 다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그러나 허생의 상업적 행위는 매점매석과 같은 윤리적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상업적 성공과 도덕적 책임 사이의 긴장을 야기한다.
본고는 이러한 긴장 관계를 분석하며, 허생의 행위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적 정당성을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환기하였다. 실학적 공공성의 개념을 통해 선비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조선 후기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모색하였다. 실학적 공공성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불평등을 해소하며, 모든 사회구성원의 공통된 이익을 추구하는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Silhak publicness and Confucian publicness through Yeonam Park Ji-won’s Heosaengjeon and explores the reasons why scholars should fulfill their moral duties for the public good. Silhak publicness emphasizes the protection of the socially vulnerable, alleviation of inequalities, practical use of knowledge, and resolution of societal problems. By contrast, Confucian publicness focuses on the moral cultivation and moral legitimacy of the state, primarily emphasizing the role of the ruling class. On the other hand, Silhak publicness prioritizes minbon (people-first) ideology and economic equality, valuing the welfare of all members of society.
In Heosaengjeon, Heosaeng uses the profits from his commercial activities to aid the socially disadvantaged, exemplifying Silhak publicness in action. His ac tions are interpreted as efforts to promote public welfare through economic success while also contributing to the fulfillment of his moral duties. However, Heosaeng’s commercial practices, such as market manipulation, raise ethical concerns, high lighting a tension between commercial success and moral responsibility.
This study examines this tension and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Heosaeng’s actions can be morally justified as a means of addressing social issues. By recon sidering the role of scholars through the concept of Silhak publicness, this study addresses the structural problems and solutions in late Joseon society. It confirms that Silhak publicness focuses on protecting the socially vulnerable, addressing inequalities, and realizing the common good for all members of society.
목차
1. 들어가며
2. 연암의 이용후생과 실학적 공공성
3. <허생전>과 공공의 이익
4.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4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결론 쓰기’의 문제점 분석 - ‘자기 성찰 글쓰기’를 중심으로
- 상호적 읽기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사례 연구 - 경영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 노래로서의 시조 장르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치경마찰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아버지 찾기와 주체화 과정 - 김원일 「어둠의 혼」과 임철우 「아버지의 땅」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 서면 인터뷰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반대신문식토론과 설득적 글쓰기 경험 양상
- 숫자와 노래 - 1920년대 식민지 개조담론과 ‘조선인’의 표상화
-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문지방 개념의 내용과 교육적 함의
-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 다중양식 기반 스토리텔링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 [리뷰] ‘이야기-하기’의 힘에 대하여 - 오쓰카 에이지, 양자오의 이야기론 읽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