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이용수 114
- 영문명
- Slang words discourse analysis in communication language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KakaoTalk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간호배(Hobae Ka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477~4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카카오톡에서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비속어 양상을 분석하여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 비속어 사용에 대한 원인과 양태를 살펴보고 우리말에 대한 가치를 일깨우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비속어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코라적 공간에서의 경계 소멸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우선 가부장적 언어가 소멸되고 있는 현상으로, 이는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고 이에 따른 사회.문화적 의식의변화로 모성이나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 의식이 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젠더적 권력 양상의 소멸로, 이는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불특정 다수에 대한 비속어 사용이 증가하거나 남.녀 함께 있는 단톡방에서의 대화로 인해 특정 성별에 대한성적 비하나 성차별적 언어가 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좀적 형태의 변이 양상인데, 비속어의 형태가 축약어, 합성어, 신조어, 자.모음변형 등으로 다양화 되면서 기존의 의미를 가볍고 무질서한 담론으로 만들고있다. 자음이나 모음을 변형시켜 낯설게 만들거나 언어유희로 사용함으로서 남들과다른 새로운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비속어의무분별한 생성은 수직적 의미 생성이 아니라, 수평적 의미 생성 구조를 형성하며 무한히 확산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profanity in college stu dents’ conversations on KakaoTalk, examine the causes and patterns of the indis criminate use of Slang words raise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were two main types of Slang words. First, the phenomenon of boundary disappearance in the chora space could be seen. First of all, it is a phenomenon in which patriarchal language is disappearing.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 phenomenon in which patriarchal consciousness about motherhood and women is disappearing due to the rapid change of time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And with the disappearance of gendered power aspects, this means that with the activation of smartphones, the use of slang against unspecified people increases, or that sexual derogatory or sexist language against a specific gender is disappearing due to conversations in group chat rooms where men and women are together.
Second, there is the aspect of variation in rhizomatic form. As the forms of slang words are diversified into abbreviations, compound words, new words, consonant or vowel transformations, etc., existing meanings are turning into light and disor derly discourse. They are interested in using a new languag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s by modifying consonants or vowels to make them unfamiliar or using them as a Pun.
In this way, we observed that the indiscriminate creation of slang words does not create vertical meaning, but forms a horizontal meaning creation structure and is spreading infinitely.
목차
1. 서론
2. 코라적 공간에서의 경계 소멸
3. 리좀적 형태의 변이 양상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4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결론 쓰기’의 문제점 분석 - ‘자기 성찰 글쓰기’를 중심으로
- 상호적 읽기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사례 연구 - 경영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 노래로서의 시조 장르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치경마찰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아버지 찾기와 주체화 과정 - 김원일 「어둠의 혼」과 임철우 「아버지의 땅」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 서면 인터뷰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반대신문식토론과 설득적 글쓰기 경험 양상
- 숫자와 노래 - 1920년대 식민지 개조담론과 ‘조선인’의 표상화
-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문지방 개념의 내용과 교육적 함의
-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 다중양식 기반 스토리텔링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 [리뷰] ‘이야기-하기’의 힘에 대하여 - 오쓰카 에이지, 양자오의 이야기론 읽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