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182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Native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서효원(Hyowon Seo)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43~8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 낭송 대회에 참가한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대회 준비 과정, 참가 및 수상 경험에 담긴 의미를 Dewey의 ‘하나의 경험’에 비추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심층 면담을 통한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시 낭송 대회에 참가한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의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 3인이다. 연구 결과,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이 주는 성장의 의미’, ‘참가자의 내면세계 인식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발견’, ‘Dewey의 ‘하나의 경험’ 원리에 기초한 자기 주도적이며 능동적인 내적 경험 의미 탐색’을 도출하였다. 결과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운경험을 통해 자아의 발견과 준비 과정을 통한 내적 성장을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동체적 소속감, 노력의 가치 발견, 한국 문학작품에 대한 흥미 증가, 전공영역에 대한 자신감 상승, 내적 치유 효과 경험 등 내면세계를 통한 새로운 가치를 발견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 주도적이며 능동적인 내적 경험을 하였다. 이 연구는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학교육에서 시 낭송 대회 참가라는 경험을 통해 그동안 접근하지 못한 문학적 경험과 성장영역을 탐구하여 연구의독창성을 확보한 연구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eply explore the meaning embedded in the preparation, participation, and award experiences of non-native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s, in light of Dewey’s notion of “an ex perience,”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Qualitative research employing narrative inqui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The study partici pants were three non-native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s. The findings yielded insights into “the meaning of growth experienced through participation in poetry recitation competitions,” “discovery of new values through participants’ internal perceptions,” and “exploration of self-directed and active internal expe riential meanings based on Dewey’s principle of ‘an experience.’” Key findings include: firstly, participants experienced self-discovery and internal growth through new experiences and preparation processes. Secondly, they discovered new values through community belonging, appreciation of effort,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literary works, heightened confidence in their field of study, and experiences of internal healing effects. Thirdly, participants engaged in self-directed and active internal experienc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4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결론 쓰기’의 문제점 분석 - ‘자기 성찰 글쓰기’를 중심으로
- 상호적 읽기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사례 연구 - 경영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 노래로서의 시조 장르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치경마찰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아버지 찾기와 주체화 과정 - 김원일 「어둠의 혼」과 임철우 「아버지의 땅」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 서면 인터뷰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반대신문식토론과 설득적 글쓰기 경험 양상
- 숫자와 노래 - 1920년대 식민지 개조담론과 ‘조선인’의 표상화
-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문지방 개념의 내용과 교육적 함의
-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 다중양식 기반 스토리텔링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 [리뷰] ‘이야기-하기’의 힘에 대하여 - 오쓰카 에이지, 양자오의 이야기론 읽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