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이용수 5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 of Reading Education to Identify and Reconstruct Perspectiv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영아(Young a Kim) 길호현(Hohyun Kil)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517~55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점의 개념과 관점 형성 요소를 항목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점 읽기및 재구성하기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점이란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그 사람이 보고 생각하는 태도나 방향 또는 처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를 바탕으로 관점의 유형을 분류하면 주체 관점, 방향 관점, 태도 관점의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이러한 관점은 관점 자체의 파악, 관점의 적절성 평가, 대안의 탐색, 추론, 논증의 타당성 평가 및 재구성 등의 활동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관점의 개념이 명시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다는 점, 그리고관점의 재구성을 위한 구체적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이를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제시된 글을 통해 관점을 읽어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관점 파악을 위해 관점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글이나 자료의 관점을 파악하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관점의 재구성을 위하여 관점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다중적인 관점을 종합하며, 이를 자신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교육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educational content for teaching perspective reading and reconstruction, grounded in the concept of perspective and its key elements. Perspectiv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ubject, directional, and attitudi nal.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revealed that perspective-related activities include grasping the perspective itself, evaluating its appropriateness, exploring alternatives, reasoning, and evaluating and reconstructing the validity of arguments. However, the concept of perspective is not explicitly defined, and no specific method for reconstructing perspectives is provided. To address this issue, it is essential to educate students on how to read and analyze perspectives presented in text. This requires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different perspec tives in order to interpret them, as well as the ability to identify perspectives in articles or other materials. In addition, to help students reconstruct perspectives, education should focus on evaluating the validity of perspectives, synthesizing multiple perspectives, and ultimately reconstructing these into a coherent personal perspective.
목차
1. 서론
2. 관점의 의미
3. 관점 읽기 교육의 양상과 문제점
4. 관점 읽기를 위한 교육 내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4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결론 쓰기’의 문제점 분석 - ‘자기 성찰 글쓰기’를 중심으로
- 상호적 읽기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사례 연구 - 경영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 노래로서의 시조 장르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치경마찰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아버지 찾기와 주체화 과정 - 김원일 「어둠의 혼」과 임철우 「아버지의 땅」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 서면 인터뷰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반대신문식토론과 설득적 글쓰기 경험 양상
- 숫자와 노래 - 1920년대 식민지 개조담론과 ‘조선인’의 표상화
-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문지방 개념의 내용과 교육적 함의
-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 다중양식 기반 스토리텔링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 [리뷰] ‘이야기-하기’의 힘에 대하여 - 오쓰카 에이지, 양자오의 이야기론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