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Basic Literacy Education Using a Balanced Approach in the Introductory Stage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손희연(Hui-Youn So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4호, 181~20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 한국어(KSL) 학습을 위해 기초문식성 내용을 지닌 입문 단계를 구성하고 균형적 접근의 관점에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우선 한국어(KSL) 입문 단계 교육의 관점을 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단어수준의 기초문식성 교육, 둘째, 음운인식을 통한 구어 및 문해 발달의 토대 마련, 셋째, 유의미한 상호작용 기반의 균형적 접근이다. 이를 통해 음운인식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초등 한국어 학습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단어 수준에서 한정되며, 또한 공동주의의 속성을 지닌 유의미한 상호작용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글 학습과 음운인식 과제를 균형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입문 단계 기초문식성 교육의 관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입문 단계 기초문식성 내용으로 먼저 의미중심의 단어 목록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초급 어휘 목록을 기본으로 하여 단어의 의미장을 주요 기준으로 선별된 명사 어휘들이 활용될 수 있다. 의미장 기준은 음운인식 활동이나 맥락화된 상호작용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야 할것이며, 연음이나 음운변동, 명시적 한글 학습의 난이도 등을 고려한 재선별이 고려될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음운인식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음운인식 강화 내용과 음운인식 통합 내용의 범주에서 한국어 입문 단계에 적합한 단어, 음절, 음소 단위의 음운인식 과제 예시를 보였고, 이들이 한글 자모 글자 학습과 결합될수 있는 방안 및 쟁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운인식의 과제와 명시적인 한글 문자 학습 사이에서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단어 중심의 입문용 대화 및 말놀이 노래 주고받기와 같은 교육적 실행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roductory stage of basic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and to explor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from a balanced approach perspective.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three key aspects of introdutory KSL education: first, word-level basic literacy instruction; seco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poken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through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ird, a meaningful interaction-based balanced approach. Subsequently, a method for con structing a meaning-oriented word list was proposed as introductory basic literacy content. This method is based on the beginner vocabulary list from the , with the semantic field of words serving as the main cri terion. Next, we sought a plan to organize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phono logical awareness. Examples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t the word, syllable, and phoneme levels, suitable for the introductory stage of Korean were provided, along with discussions on how to integrate these tasks with basic literacy content and Hangul learning. Finally, strategies for implementing a balanced approach that incorporates wordplay songs and word- centered interactions we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초등 한국어(KSL) 입문 단계 교육의 관점
3. 입문 단계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 구성 방안
4. 균형적 접근의 실행 전략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4호 목차
- 대학 글쓰기에서 ‘결론 쓰기’의 문제점 분석 - ‘자기 성찰 글쓰기’를 중심으로
- 상호적 읽기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사례 연구 - 경영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 대학 글쓰기에서의 다시 쓰기에 대한 재인식과 교육 방안
- 실학적 공공성으로 <허생전> 다시 읽기
-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교원의 시 낭송 대회 참가 경험 내러티브 연구
- 노래로서의 시조 장르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베트남 북부 학습자들의 한국어 치경마찰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입문 단계의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플립러닝 기반의 글쓰기 강의에서 ‘pre-class’와 ‘in-class’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연구 -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아버지 찾기와 주체화 과정 - 김원일 「어둠의 혼」과 임철우 「아버지의 땅」을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주제 선정을 중심으로
- 서면 인터뷰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반대신문식토론과 설득적 글쓰기 경험 양상
- 숫자와 노래 - 1920년대 식민지 개조담론과 ‘조선인’의 표상화
- K-culture에 대한 인식 개념의 확장성 연구 - 썸트렌드(Sumtrend) 빅데이터(2014~2023)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문지방 개념의 내용과 교육적 함의
- 통신언어에서의 비속어 담화 분석 -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언어를 중심으로
- 다중양식 기반 스토리텔링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사례 연구
- 읽기 교육에서의 관점 파악 및 재구성 활동 구체화
- [리뷰] ‘이야기-하기’의 힘에 대하여 - 오쓰카 에이지, 양자오의 이야기론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